보름 앞으로 다가온 4.27 재보선에 눈길이 쏠린다. 여느 때의 재보선과는 달리 긴장감도 넘친다. 결과에 따라 여야 지도부의 진퇴가 걸린데다 내년으로 다가온 총선과 대선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분당을에서는 한나라당의 강재섭 전 대표와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맞붙는다는 점에서 초미의 관심사다. 대표적인 중산층 지역으로 한나라당의 텃밭인 이곳을 선택해 손 대표가 정치적 승부수를 던졌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한나라당도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다. 임태희 대통령 비서실장의 사퇴로 공석인 된 이 지역에 다시 임 실장을 출마시키자는 얘기가 한때나마 나돌았던 것도 그런 기류를 반영한다.
김해을에서는 경남지사 및 총리지명자 경력의 김태호 후보에 대해 야권 단일후보의 도전이 예정되어 있다. 이 지역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데다 영남권 신공항 무산에 따른 민심이 어떻게 표출될 것이냐 하는 점이 관건이다. 강원지사 자리를 놓고는 공교롭게도 똑같은 MBC사장 출신의 엄기영, 최문순 후보가 격돌한다. 이광재 전 지사에 대한 동정론이나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작용할지가 변수다.
관심을 끄는 것은 여당 후보들이 중앙당 차원의 지원을 마다하고 ‘나홀로 유세’를 벌일 태세라는 점이다. 최근 물가난과 전셋값 파동 등 민생문제가 부각되면서 중앙당이 끼어들수록 불리하다는 생각에서일 것이다. 이번 선거도 어차피 이명박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비해 야당은 ‘정권 심판’ 구호를 내걸고 바닥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원지사 후보들이 지역개발 공약을 남발하는 것은 또다른 문제다. 원주-강릉 고속전철과 동해안 경제자유구역 등의 내용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실현 여부를 놓고 주민들 간의 갈등 요인이 될까 걱정된다. 최근 무산 결정이 내려진 신공항을 비롯해 공기업의 지방이전, 그리고 뉴타운에 이르기까지 선례도 수두룩하다. 공약이 구태의연하거나 초라해도 문제지만 너무 넘쳐서도 곤란하다. 결국은 유권자들의 몫이다.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