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미국의 4월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양국 수교로 이어진 기념비적인 핑퐁외교가 중국의 적극 구애로 40년 전인 1971년 4월 베이징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양국 관계가 아무리 좋지 않더라도 4월만큼은 그리 으르렁거리지 않는다. 기념 행사가 예정된 올해도 그럴 것이라고 예상됐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가 보통 3월 발표하는 ‘국가별 인권보고서’를 지난 9일 공개하면서 예상은 깨져버렸다. 미국이 중국의 인권 상황을 맹비난하고 나선 탓이다. 당연히 중국 역시 기다렸다는 듯 미리 준비한 미국 인권보고서를 10일 발표, 맞불을 피웠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중국의 대미 전략으로 볼 때 당연한 대응이었다. 중국은 미국이 핑퐁외교 40주년을 기념하는 것처럼 부산을 떨며 뒤통수를 때린데 불쾌감을 억누르기 어려웠겠지만 말이다.
사실 그동안 미국의 행보는 다소 의도적이고 치사한 냄새를 물씬 풍긴다. ‘국가별 인권보고서’가 반체제 인사 아이웨이웨이에 대한 중국 당국의 전격 체포 직후 발표됐다는 사실이 우선 이런 단정을 가능케 한다.
여기에 오바마 대통령이 휘하 중국통 핵심 3인방인 제프리 베이더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보좌관, 제임스 스타인버그 국무부 부장관, 존 헌츠먼 주중대사를 비슷한 시기에 줄줄이 교체한 것 역시 이런 판단에 무게를 실어준다.
하지만 중국도 크게 할 말이 없는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자국이 철저하게 보장한다고 장담하는 종교와 언론의 자유가 참으로 이상하기 이를 데 없다.
예컨대 기독교의 경우 자유가 있다고 펄쩍 뛰면서까지 강변하나 이른바 삼자(三自:스스로 이끌어가고, 스스로 신앙생활을 하고, 스스로 전도함) 교회라는 절묘한 틀에 묶어두고 있다. 자유로운 전도의 자유라든가 삼자(三者)가 개입할 여지를 원천봉쇄하고 있는 것이다.
언론의 자유도 다르지 않다. 말은 자유를 보장한다고 하나 취재 허가 및 기자관리를 통해 철저한 통제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외국 특파원에게 더욱 그렇다. 필자 역시 베이징 특파원 생활 9년 동안 적잖은 고초를 겪었다.
명분에서 이기려면 자신이 떳떳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인권 문제에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미국도 치사하지만 중국도 애들 장난하듯 미국 인권보고서나 발표해서는 안 된다.
지금부터라도 통큰 결단을 위한 시원스런 행보를 이어갈 준비를 한다면 굳이 미국의 ‘국가별 인권보고서’ 발표를 해마다 부담스러워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중국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