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무인도 개발 빌미로 바다에서도 '알박기'

원래 있는 사람이 더 독하고 무섭다. 남의 수중에 달랑 한 개 남은 걸 빼앗아 어떻게든 자기 것 백 개를 채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바로 이런 부류들이다.

국익을 무엇보다 우선하는 국가는 더하다. 남의 것도 일단 내 것이라고 박박 우기는 것이 국제 관례에 속한다. 중국이라고 예외일 까닭이 없다.

한반도의 40배에 이르는 영토를 가지면 가진 자의 여유를 보여야 하건만 어찌 된 일인지 식탐이 끝이 없다. 최근 중국 국가해양국이 무인도 개발과 이용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한 것은 무엇보다 왕성한 식탐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최대 50년의 기한을 정해 기업과 개인에 사용권을 부여, 개발할 예정인 이 조치가 노리는 것은 구구한 설명을 하지 않아도 분명하다. 배타적경제수역의 자원 권익 확보를 위한 해양 전략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개발 예정인 무인도 176곳이 광둥성과 푸젠성 일원의 먼 바다에 흩어져 있는 사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 한국 및 일본, 동남아 각국 등과 벌일지 모를 해양 영토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 단도직입적 바다에서의 ‘알박기’다.

중국의 통 큰 알박기는 이 정도에서 그치지 않는다. 퍼주기라는 말조차 모자랄 아프리카 원조를 통한 현지의 이권 싹쓸이가 좋은 사례다.

나아가 하나씩 현실화하는 북한 지하자원 및 인프라스트럭처 개발권 획득은 전형적인 알박기 행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북한에서의 알박기는 거의 대못을 박고 있는 수준에 이른다고 해도 틀리지 않을 듯하다.

어느 나라나 할 것 없이 자원 외교는 중요하다. 국가 및 국민의 생존과 크게 관련이 있다고 해도 괜찮다. 때문에 최근 중국이 보이는 일련의 각종 알박기 행보는 도덕적으로 비난의 소지가 있어도 뭐라고 하기가 그렇다. 못하는 나라가 바보라고 해야 한다.

한국은 자원이 부족한 나라로 손꼽힌다. 위정자들이 입만 열면 자원 외교 운운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그러나 행보를 보면 언행이 일치하지 않는다. 헌법에서 한국 땅으로 규정해 놓은 북한에서의 알박기조차 못하고 있다. 아니 박아둔 알도 빼려고 하는 게 이명박 정권의 현실이다.

이러니 더 넓은 범위의 알박기는 언감생심이다. 반면 중국은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이념에 전혀 연연하지 않는다. 국제적인 비난도 한 귀로 흘려버린다. 어떤 정부가 국민들에게 더 많은 박수와 지지를 받을지는 삼척동자도 잘 알 것 같다. /중국 전문 칼럼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