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최태원 SK 회장, '그린 에너지' 리더들과 잇딴 회동…'넷제로' 조기 달성 의지 드러내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 두번째)이 플러그파워 앤드류 J. 마시 CEO를 만나 수소 생태계 구축 등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그린 에너지' 리더들과 잇따라 만남을 가지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수소 등 새로운 에너지를 활용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것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도 확보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7일 SK그룹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6일 서울 SK서린사옥에서 미국 플러스파워 앤드류 J 마시 CEO를 만났다.

 

플러그파워는 미국 수소 기업으로, 이날 SK E&S와 아시아 수소사업 공동 추진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주주간 계약을 체결하면서 최 회장과도 만나게 됐다.

 

최 회장은 마시 CEO와 다양한 수소 관련 기술을 통해 수소 생태계를 함께 구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플러그파워가 확보한 수소 관련 핵심기술과 SK그룹이 가진 에너지 관련 인프라 및 네트워크로 한미 양국의 넷제로를 조기에 달성하는 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데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양사가 긴밀하게 협력해 아시아 지역의 수소 시장 진출도 가속해 나가자고 약속했다.

 

최 회장은 "SK그룹의 각 관계사는 SK 경영철학인 DBL을 실천하기 위해 구체적인 탄소 저감 수치 등 넷제로 활동을 측정하고 있다"면서 "넷제로 활동도 측정할 수 있어야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강조하며 사회적 가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마시 CEO는 "수많은 아시아 기업들로부터 협력 제의를 받았지만, 이중 SK그룹이 가진 신뢰감과 네트워크를 감안해 SK그룹과 협력하게 됐다"면서 "양사의 강점을 앞세워 아시아 지역 수소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답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과 플러그파워 앤드류 J. 마시 CEO /SK

플러그파워는 SK E&S와 계약을 통해 2024년까지 수도권에 수소 연료전지와 수전해 설비 등 수소사업 핵심 설비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가 팩토리 & R&D 센터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플러그 파워 기술력을 활용해 수전해 설비와 연료전지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춰 국내와 아시아에 공급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앞서 최 회장은 6일 오전에도 미국 KCE의 제프 비숍 CEO를 만나 에너지 솔루션 시장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KCE는 SK E&S가 지난달 지분 95%를 확보한 그리드 솔루션 기업이다.그리드 솔루션은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력 공급 변동성과 전력망 불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ESS 시설을 활용하면서, 송전망과 배전망에 연계한 ESS를 인공지능(AI) 기술과 접목해 전기 수요와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신산업이다.

 

SK그룹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배터리와 소프트웨어 역량을 바탕으로 KCE의 그리드솔루션 사업 전문성을 활용하고, 추가 성장자금 투자 및 사업모델 고도화 등을 통해 2025년까지 KCE를 미국 내 1위 기업이자 글로벌 톱 티어(Top-tier)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최 회장은 "향후 재생 에너지 확산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인 만큼, 그리드 솔루션은 넷제로를 앞당길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고 언급한 뒤 "KCE의 그리드 솔루션 역량과 SK그룹의 AI·배터리 기술을 접목하면 미국 1위 그리드 솔루션 사업자로 성장함과 동시에, ESG 가치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숍 CEO는 "KCE는 미국의 그리드 솔루션 시장을 연 퍼스트 무버(First mover)이자, 인공지능 기술을 ESS 기반 전력 거래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첫 번째 사업자"라며 "SK그룹과 긴밀히 협력해 미국 1위 그리드 솔루션 사업자로 성장함과 동시에 미국의 탄소 저감 및 넷제로 실현에 기여하겠다"라고 답했다.

 

최 회장이 그린 에너지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만남을 갖는 이유는 탄소 중립을 조속히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서로 풀이된다. '넷제로'가 전통에너지를 그린에너지로 전환해야 할 수 있는 만큼, 수소에너지와 그리드 솔루션 등 그린에너지 선도 기업 리더들을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한 것. 그린 에너지 산업 육성과 투자를 향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SK그룹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이 탄소중립 및 넷제로 조기 달성을 독려하고, SK 관계사들의 RE100 가입을 주도한 것은 ESG 경영이 보편적인 가치로 자리잡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면서 "최 회장이 이번에 미 에너지 혁신기업 CEO를 잇따라 만난 것도 ESG 경영의 깊이와 속도를 높여 나가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