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가을 별미가 와인을 만났을 때 …

음식맛 살리고 입안에 오랜 여운 남겨

만물이 익어가는 가을은 폭염으로 지친 몸을 보신하고 텁텁한 입맛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계절이다. 가을철 대표적인 보양식인 전어·대하·송이를 숙성과 낭만의 술, 와인과 엮었다.

고소한 전어구이엔 풍성한 과일 맛

‘돈을 생각 않고 사들이는 생선’이라는 뜻의 전어는 이름만큼이나 영양이 풍부하다. 이것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가 돌아오고 대가리 한 입이 깨 서 말의 값어치를 갖는 생선이기도 하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살이 차기 시작해 제대로 맛이 오르기 때문에 전어의 참맛은 가을이 깊어지면서 완성된다.

고소한 전어 구이나 전어회엔 이 기갈 코트 뒤 론 블랑(E. Guigal Cotes du Rhone Blanc) 2009를 곁들이면 맛이 조화롭다. 상큼하고 생생한 비오니에의 향이 전어의 기름기를 잡아주고 풍부한 과일 맛은 전어의 고소함을 배가시킨다.

전어 무침을 준비했다면 폴 자불레 에네 레 잘레 크로즈 에르미타주(Paul Jaboulet Aine Les Jalets Crozes-Hermitage)를 식탁에 올리자. 해산물엔 화이트 와인이 어울린다는 상식을 살짝 비틀면, 의외로 풍부한 식감을 경험할 수 있다. 100% 시라로 빚어져 탄닌이 풍부하므로 전어 무침의 매운맛을 중화시켜준다.

달콤한 대하엔 상쾌한 끝 맛

‘허리 굽은 새우가 노인의 굽은 허리를 펴 준다’는 말이 있다. 양기를 왕성하게 하며 신장에 좋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 칼슘,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해 지친 심신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어 보양식으로 인기가 좋다.

대하에는 엠 샤푸티에 라 시부아즈 뤼베롱 블랑(M. Chapoutier La Ciboise Luberon Blanc, 대유와인) 2009를 곁들이자. 초록빛이 살짝 감도는 옅은 노란색을 띄는 이 와인은 미네랄의 풍미가 생생해 씹는 맛을 극대화시킨다. 와인의 깔끔한 산미는 입안을 정리해줘 뒷맛이 개운하다.

향기로운 송이엔 짙은 여운을

가을 보양식의 여왕 송이. 송이는 한입 베어 물 때마다 입안 가득 향이 퍼지는 점에서 와인과 닮았다. 올해는 풍작으로 지난해에 비해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하니,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겠다.

송이의 향을 배가하면서 와인의 복합적인 아로마도 잘 살려 줄 수 있는 와인이라면 카브 드 탱 에르미타주 블랑(Cave de Tain Hermitage Blanc) 2005가 있다. 깊은 골드 빛이 감도는 이 와인은 토스트, 바닐라, 복숭아와 생강의 향이 복합적으로 피어나고, 힘있고 둥근 여운이 오래도록 지속된다. 짙은 부케(향, bouquet) 덕분에 향이 강한 음식들과 잘 어울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