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안정성, 수익성, 유동성을 골고루 갖춘 유용한 투자 대상으로 특히 주식이나 부동산 등 다른 투자 대상에 비해 높은 안정성이 장점이다. 그러나 저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채권의 수익성이 낮아지고 있어 투자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찾아보면 지금도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성격을 갖춘 채권을 찾을 수 있다.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등과 같은 주식 관련 사채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주식 관련 사채는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의 특성에 주식이 연계되어 있어 주가 상승에 따른 추가 이익을 노릴 수 있어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을 동시에 겸비한 채권이라고 할 수 있다.
전환사채(CB)는 발행 시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발행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이다. 따라서 발행 회사의 주식이 일정한 가격 이상 올라가면 주식으로 바꿔서 매도하면 매매차익을 올릴 수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발행 시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발행 회사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연된 채권이다. 전환사채와 마찬가지로 발행 회사의 주식이 일정한 가격 이상으로 상승할 때 권리행사를 통해 추가 이익을 올릴 수 있다. 반면, 권리행사 시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추가 자금 부담이 없는 전환사채와 달리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권리행사 시 주식인수자금을 별도로 납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는 차이가 있다.
교환사채(EB)는 발행 시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발행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유가증권(발행 시 지정)으로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이다. 채권 발행 회사의 주가상승이 기대될 때 투자하는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와 달리 교환사채는 발행 회사의 주식이 아닌, 발행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회사 주식의 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투자한다는 차이가 있다.
만약 주가가 기대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식 관련 사채를 만기까지 보유해 원금과 이자를 상환받을 수 있어 채권의 안정적 특성이 변함없는 것도 또 하나의 장점이다.
/정리=정일환기자
/도움말=양광규 한화투신운용
fixed-income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