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日 새내기 대학생 24% "평균이 뭔가요"

일본 대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대학생 1학년을 중심으로 수학적 소양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4명 중 1명이 초등학교 6학년에서 배우는 '평균'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조사 결과로 2009년까지 진행된 일본의 '유토리'(여유) 교육에 대한 비판이 다시 거세질 전망이다.

일본수학회는 지난해 4~7월 국공사립 48개 대학 1학년 5934명을 대상으로 통계와 논리, 대수, 해석 등 5개 분야를 대상으로 '대학생 수학기본조사' 를 실시했다.

그 결과 키를 소재로 평균의 정의와 그것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을 요구한 질문의 전체 정답률은 76.0%에 그쳤다. 도쿄대와 교토대 등 최고 수준의 국립대 그룹의 정답률은 94.8%로 높았지만, 대학 합격 커트라인이 낮은 학교를 중심으로 한 그룹에서는 정답률이 51.2%에 불과했다.

또한 논리력을 묻는 질문의 전체 정답률은 64.5%였다. 최고 수준의 국립대 그룹은 86.5%였지만, 입학 성적이 낮은 사립대 그룹은 50%를 넘지 못했다.

이번 설문 조사의 대상은 학교 수업에 주 5일제가 도입된 후 학습지도요령으로 학습 내용이 줄어든 '유토리 세대'의 학생이었다.  일본 정부는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 교육을 위해 2002년부터 각 과목의 수업 내용을 30% 줄이는 유토리 교육을 도입했다. 

수학의 경우 소수점 이하 계산법은 다루지 않고 원주율 3.14를 3으로 가르쳤으며, 정육면체나 사다리꼴, 마름모 등의 면적 계산은 아예 포함하지 않았다. 과학에서도 복잡한 수식이나 실험, 관찰이 요구되는 내용은 피했으며, 일본어 교육에서도 어려운 고사성어나 주요 한자들을 뺐다. 수업시간도 10% 줄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연평균 수업시간(804시간)과 비교해도 99시간이나 적었다.

이런 실험은 심각한 학력 저하와 공교육 후퇴를 초래했다. 일본은 2000년 OECD의 고교생 '국제학습성취도조사(PISA)'에서 수학부문 1위를 차지했지만 2006년 같은 조사에서는 10위로 추락했다.

결국 일본 정부는 2010년 유토리 교육을 포기하고 교육량을 종전보다 40% 이상 늘렸다. 교육계와 언론 일각에서는 이를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유토리 세대는 학력 저하 논란이 일었던 '이해찬 세대'와 곧잘 비교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