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11일로 1년이 되지만 후쿠시마 주민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
방사능을 피해 다른 지역으로 대피해 있는 후쿠시마 이재민들과의 접촉을 꺼리거나 피해지역의 쓰레기 수용을 거부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4일 야마나시현 고후 지방법무국에 따르면 야마나시현으로 피난해온 후쿠시마 주민이 부당한 차별을 받았다며 구제를 요청했다.
이 피난민은 아이를 거주지 근처 보육원에 보내려 했으나 거절 당했다. 이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게 방사능을 옮길 수 있다는 부모들의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주민들은 이 피난민에게 "당신의 아이가 집 근처 놀이터에서 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요구했다.
이에 법무국은 홍보지 광고란을 통해 후쿠시마 피난민에 대한 근거없는 편견을 갖거나 이들을 차별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관련 포스터와 전단지를 제작하는 등 조취를 취했다.
원전 사고 직후 타 지역에 피난중이던 후쿠시마 어린들이 또래 아이들에게 집단 괴롭힘(이지매)을 당했다. 지바현 후나바시시 교육청은 학생들이 후쿠시마 아이들에게 편견을 갖고 대하지 않도록 지도하라는 교육 방침까지 내릴 정도였다. 후쿠시마현 주민이라는 이유로 택시승차, 호텔숙박, 병원진찰을 거부당했다는 신고도 잇따랐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14년 3월 말까지 대지진과 원전 사고 피해지역 쓰레기를 전국에 분산 처리하는 방침을 세웠지만 지자체의 반대로 처리가 어려울 전망이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전국 자자체를 대상으로 대지진 피해지역의 쓰레기 수용 여부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한 결과 33%는 '현시점에서 곤란하다', 53%는 '전혀 수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는 등 지자체의 86%가 수용을 거부했다.
이와테현과 미야기현, 후쿠시마현에서 대지진과 쓰나미로 건물이 부서지면서 발생한 잔해와 생활 쓰레기, 침수된 산업 쓰레기는 모두 2252만 8000t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소각과 매립, 재이용 등으로 처리가 끝난 쓰레기는 약 5%(117만 6000t)에 그쳐 다른 지역에서 쓰레기를 받지 않을 경우 복구 작업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