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유언비어를 유포한 네티즌을 구속하는 등 올 가을 권력 교체를 앞두고 사회 기강 확립에 본격 나섰다.
신화통신은 중국 당국이 얼마 전 세상을 뜨겁게 달군 내란설을 유포한 사람 6명을 구속하고 관련 인터넷 사이트 16개를 폐쇄했다고 1일 보도했다.
중국 국가인터넷신식판공실(SIIO)은 일부 인터넷 사이트가 "군용 차량이 베이징에 진입했고, 베이징에서 뭔가 잘못된 일이 벌어졌다"는 루머를 퍼트렸다고 발표했다. 판공실은 이런 소문이 무법자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고 확인했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유포된 소문에 대한 중국 정부의 공식 반응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에서 운영되는 중화권 뉴스인 대기원시보는 중국 권력서열 9위인 저우융캉 상무위원이 후진타오 국가주석을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켰다가 제압됐다고 지난달 20일 전한 바 있다. 이 소식은 인터넷을 타고 전 세계로 확산됐으며 국내에서도 검색 순위 1위에 오르는 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베이징 지도자들이 몰려 있는 중난하이에서는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쿠데타설은 사실무근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중국 당국의 공식적인 해명이 나오지 않아 일각에서는 여전히 의문을 제기해왔다.
중국 정부가 이번에 강한 조치를 취한 것은 더 이상 소문을 방치했다가는 사회 기강 확립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 가을 제 18차 공산당 대표대회에서 새 지도자를 결정해야 하는 중국으로서는 사회적 안정과 질서 유지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논평을 통해 "잘못된 온라인 루머가 대중의 도덕심을 훼손할 수 있다"며 "헛소문을 퍼트린 사람은 법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중국의 주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이트인 시나닷컴과 큐큐닷컴 등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들도 이번 사건으로 철퇴를 맞았다. 이들 사이트는 중국 정부 지도로 댓글을 다는 기능을 당분간 중단하기로 했다. 중국 당국은 헛소문 유포에 웨이보들도 역할을 한 것이 드러나면 처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교류가 크게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언론 통제를 받고 있는 중국에서는 웨이보 등 인터넷이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에 있어서 상당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