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하이닉스 엘피다 인수 본심?

하이닉스가 삼성전자에 버금가는 규모로 자리매김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이닉스가 파산보호신청을 낸 일본 D램업체 엘피다 인수에 뛰어들어 향후 D랩 업계의 판도변화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하이닉스의 모회사인 SK텔레콤이 막강한 현금 보유력을 지닌만큼 인수가 성사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 경우 하이닉스의 D램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30%를 웃돌고, 44%인 삼성전자를 턱밑에서 추격할 수 있다.

하이닉스는 지난달 30일 엘피다의 매각 주관사인 노무라에 1차 입찰제안서를 제출했다. 하이닉스 외에 입찰제안서를 낸 곳은 미국의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일본의 도시바로 알려졌다.

메리츠증권은 엘피다는 3차례의 협상 과정을 통해 4월말 이후 인수 회사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하이닉스의 가용현금은 7조원가량이고 올해 투자분 4조원 등을 감안하면 하이닉스는 최대 1조5000억원가량의 현금을 동원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이닉스가 엘피다를 인수하면 D램 시장점유율 30%를 넘기면서 삼성전자를 위협할 수 있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이닉스가 쏟아부을 수 있는 현금이 최근 인수가격으로 논의되는 수준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이닉스가 엘피다를 인수하기 위해 나섰다기보다 경쟁업체를 견제하려는 의도가 강하다는 지적도 있다.

엘피다 인수 경쟁이 3파전으로 벌어질 경우 2파전으로 진행되는 것보다는 매물 가격이 올라가고 이때 하이닉스가 입찰 포기를 선언하면 최종인수업체는 더 많은 돈을 내야한다.

흔히 말하는 '승자의 저주'를 하이닉스가 연출하는 셈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