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넘게 일본해로 단독 표기 돼 있던 명칭을 왜 바꿔야 하나." "일제 식민 치하에서 일방적으로 이뤄진 일이니 동해와 병기하자."
24일(한국시간) 동해의 국제 명칭을 결정하는 제18회 국제수로기구 (IHO) 총회가 모나코에서 개막했다. 동해 표기 문제는 개막 첫날부터 당사국인 한국과 일본의 입장 발표가 이어지면서 총회의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한국 대표단은 일본 정부가 식민지 유산을 버리고 국제 표준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신판 개정을 통해 동해(East Sea)를 일본해(Sea of Japan)와 병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23은 세계 바다 이름을 결정 하는 국제표준 지침서다.
수석대표인 외교통상부 백지아 국제기구국장은 "국가 간 분쟁으로 지명 합의가 안 되면 함께 적는다는 IHO와 유엔의 기존 규정에 따라 동해 표기 병기가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본 대표단은 국제 표준으로 통용되는 일본해 지명을 개정판에서 굳이 고칠 필요가 없다며 맞섰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해양 안전을 위한 IHO에 정치를 끌어들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동해 병기 여부는 25일까지 해도집 개정 실무 그룹 논의를 거쳐 총회 의결을 통과해야 최종 확정된다. IHO는 이번 총회에서 1953년 3판 발행 이후 지연되고 있는 S23 개정을 위해 동해 표기 문제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하지만 한일 양국의 첨예한 의견 대립으로 이번 사안이 표결 처리까지 못 가고 다음 총회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 미 국무부 관계자는 "미국 정부는 지명위원회(BGN)가 결정한 명칭을 사용한다"면서 "해당 해역에 대한 BGN의 기준 명칭은 일본해(Sea of Japan)"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은 다른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이 이 문제에 대해 서로 동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IHO에 내놓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동해 표기 문제는 2002년과 2007년 총회에서도 주요 이슈로 논의됐으나 남ㆍ북한과 일본이 대립하면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