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유로존 위기 남의 일 아니다

유럽 경제위기가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아니 어떻게 보면 더 꼬이는 양상이 아닌가 싶다.

지난주 그리스에 이어 스페인과 이탈리아, 프랑스 금융기관에서까지 뱅크런(일시적인 대량 예금인출 사태)이 벌어진 사실은 무엇보다 이런 현실을 잘 말해주지 않나 보인다. 미국의 캠프 데이비드에 모인 G8 정상들이 유럽 경제 위기를 주요 의제로 정해 결론이 나오기 어려운, 입만 아픈 난상토론을 이틀 동안 벌인 것 역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유럽중앙은행(ECB) 소재지인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19일 무려 2만여 명이나 모여 반자본주의 시위를 벌인 것까지 상기하면 유럽의 경제 위기는 당장에 해결될 일과성이 절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월 스트리트 점령 시위를 벤치마킹한 시위대들이 외친 구호도 장난이 아니다. "유로존은 파멸했다"거나 "불공정의 시대에서 저항은 의무다"라는 내용에서는 조만간 큰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전망을 가능하게 만든다.

실제로도 분위기는 만만치 않다. 우선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와 디폴트가 나름 개연성 높은 시나리오로 거론되고 있다. 이 경우 유로존의 붕괴 가능성은 설마의 단계를 넘어서게 된다. 또 스페인, 아이슬랜드, 이탈리아 등도 그리스 처지를 동정할 입장이 아니다. 이 경우 생존에 최소한도로 필요한 유로존의 체력은 더욱 고갈될 수밖에 없다. 유로존 붕괴는 자연스럽게 유럽 못지않게 경제적으로 헤매고 있는 미국에게도 치명타로 작용하게 된다. 미국 국채 1조2000억 달러를 보유 중인 중국은 더 말할 것이 없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떻게 될까? 결론은 어렵지 않게 나온다. 그리스를 포함한 유로존의 부도 위기 국가를 우습게 볼 상황이 결코 아니다. 아니 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해도 그다지 틀리지 않는다. 저성장 기조 진입이나 실업난 등의 다른 위기 조짐을 굳이 들먹일 필요조차 없다. 숨겨진 것까지 포함할 경우 1500조 원으로 추산되는 국가 부채와 1000조 원에 육박한 가계 부채만 언급해도 숨이 탁 막힌다.

1997년의 외환 위기보다 더 심각한 위기가 이미 턱 밑에 와 있는데도 그리스를 비롯한 유로존 국가들을 동정의 눈빛으로 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다시는 끔찍한 위기가 재발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으나 유로존과 한국의 현실을 보면 상황은 심각하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칼럼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