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등 전 세계 제조업경기의 위축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최근 6월의 제조업지수가 49.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50을 넘으면 확장 국면, 그 아래면 위축 국면을 뜻한다. 미국의 ISM 제조업지수가 50 밑으로 떨어진 건 2009년 7월 이후 3년 만이다.
물론 상무부가 어제 발표한 5월 제조업 수주가 0.7% 증가로 나타나 제조업 침체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긴 했다. 하지만 유럽 재정위기와 중국 등 아시아의 경기둔화로 전망은 여전히 밝지는 않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어제 미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성장률을 4월의 2.1%에서 2.0%로 하향 조정한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
세계 경제를 견인해 온 중국도 흔들리고 있다. HSBC가 집계한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8.3로 전달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8개월 연속 50 아래다. 중국 정부의 공식 PMI도 5월 50.4에서 6월엔 50.2로 하락했다. 7개월 만의 최저치다. 유로존의 6월 PMI는 45.1로 11개월 연속 위축세다. 특히 독일의 제조업 PMI도 5월 45.2에서 6월 45.0으로 떨어졌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의 위축은 대외의존도가 큰 우리 경제에 직격탄이다. 특히 최대 수출국인 중국 경기의 경착륙 우려가 제일 걸린다. 그 때문인가. HSBC가 집계한 한국의 PMI는 6월 49.4로 전달의 51.0보다 무려 1.6포인트나 떨어졌다. 5개월 만에 경기 후퇴 선으로 내려선 셈으로 향후 경기 전망이 어둡다는 얘기다.
각국은 확장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설 움직임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오늘 현재 1.0%인 기준금리를 0.75%로 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국은 3.4분기 중 3차 양적완화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중국 또한 지급준비율 인하와 금리인하 등 추가 유동성 공급대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경제를 떠받치기 위해 하반기에 재정투자 규모를 8조5000억원 더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추경 규모의 30% 수준에 못 미치는 등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 정도 규모로는 경기 부양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보다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이 필요하다. 기준금리 문제도 전향적으로 판단할 시점이 아닌지 고민할 때다. /경제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