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여성 최장수국' 어부지리 홍콩

일본이 27년 간 지켜온 '여성 최장수국' 1위 자리를 홍콩이 꿰찼다.

최근 일본 후생노동성은 동일본 대지진으로일본 여성의 수명이 단축, 홍콩 여성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사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홍콩 여성의 평균 수명은 86.7세였다. 이는 2010년 보다 0.9세 늘어난 수치다.

27년 동안 1위 자리를 고수해온 일본 여성의 지난해 평균 수명은 85.9세로 2010년에 비해 0.4세 감소했다. 3위는 스페인 여성으로 84.91세를 기록했다.

후생노동성은 일본 여성의 수명이 하락한 가장 큰 원인으로 동일본 대지진을 들었다. 지난해 일본에서는 지진 발생으로 1만5000여 명이 숨지고 4000여 명이 실종됐다. 더불어 젊은 여성의 자살률 증가, 호흡기 질환 등도 사망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남성의 경우 평균 수명 80.5세로 홍콩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세계 1위를 지켰다. 2위와 3위는 스위스와 스웨덴으로 각각 79.8세, 79.7세를 기록했다. 일본 남성은 0.11세 감소한 79.44세로 세계 8위다.

중산대 노년학 연구센터의 리순화(李舜華) 교수는 "홍콩이 장수국이 된 가장 큰 원인은 의료 시설과 약품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한 데 있다"며 "현재 홍콩 노년층 대부분은 전란을 겪은 세대로 체질적으로 건강한 이유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선진국에서는 약이나 기타 비자연적 요법을 사용, 단순히 수명을 연장하는 것보다 '사람답게' 사는걸 중요하게 여긴다. 반면 홍콩 사람들은 약물을 써서라도 생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홍콩 정부가 최근 발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홍콩인의 수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성비 불균형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지난해 홍콩 남녀의 평균 수명은 각각 80.5세, 86.7세로 1996년의 76.7, 82.7세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홍콩 사회의 고령화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홍콩 여성의 평균 연령은 96년의 34.1세에서 41.4세(2011년)로, 남성은 34.9세에서 42세로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성비(여성 1000명 대비 남성의 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남녀 성비는 81년의 1087에서 2011년의 876으로 크게 감소했다. 성비 불균형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 대륙 여성 및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대거 유입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