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이 결국 지주회사인 웅진홀딩스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웅진홀딩스 대표이사로 올라선 지 9일 만이다.
웅진그룹은 윤석금 회장이 웅진홀딩스 대표이사를 맡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4일 밝혔다.
웅진그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윤석금 회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어려운 상황을 개선해 경영을 정상화시키는 책임을 다하고자 했으나 여러 오해가 생기고 있어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에 대한 법정관리 신청을 두고 도덕적 해이 논란이 일자 결국 대표이사에서 물러나기로 결심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웅진홀딩스는 윤석금·신광수 공동대표에서 신광수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된다.
윤 회장은 지난달 지주회사인 웅진홀딩스와 계열사인 극동건설의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동시에 자신이 웅진홀딩스 대표이사로 올라섰다. 이를 두고 경영실패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고 경영권을 계속 행사하겠다는 속마음을 드러냈다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아울러 웅진코웨이와 웅진에너지 등 계열사의 차입금을 조기에 상환했다는 점과 부인과 계열사 임직원이 법정관리 신청 전 주식을 매각하는 등의 사실이 알려지면서 윤 회장의 도덕적 해이 논란이 가속화됐다.
채권단 역시 윤 회장의 경영 배제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등 윤 회장에 대한 여론이 계속 악화했다.
이러한 상황에 윤 회장의 사재 출연 검토, 국민연금의 웅진그룹 계열사 투자 논란 등 각종 사안이 불거지자 결국 윤 회장이 사퇴한 것으로 분석된다. 웅진그룹 측은 "윤 회장의 사재 출연 계획은 없다"고 못박았다.
윤 회장이 대표이사를 사임함에 따라 신광수 단독 대표이사가 웅진홀딩스를 책임지게 된다.
그러나 윤 회장이 웅진홀딩스 대표이사에서 물러나도 웅진그룹 회장으로서의 지위는 변동이 없다. 윤 회장은 웅진홀딩스의 지분 73.92%를 보유한 1대 주주다.
한편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의 회생절차를 시작할지 여부를 가리기 위한 법원의 심문은 5일 오후 4시30분에 시작된다. 이날 심문에는 윤석금 회장과 신광수 웅진홀딩스 대표이사, 채권자협의회의 대표 채권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열린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