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윤덕노의 푸드스토리] 단팥빵과 참깨

단팥빵과 참깨



단팥빵을 먹기 전,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보면 빵 껍질에 촘촘히 박혀 있는 참깨를 발견할 수 있다. 어느 제과점 빵이건 십중팔구는 참깨가 뿌려져 있다. 도대체 왜 단팥빵에 참깨를 뿌려놓은 것일까?

지금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관습적으로 참깨를 뿌려놓은 것 같다. 그렇지만 원래는 이유가 있었다. 단팥빵 속에 들어있는 단팥 종류를 구분하려는 목적이었다. 단팥빵에는 보통 두 종류의 팥이 들어있다. 팥 알맹이가 통째로 씹히는 통단팥과 체로 걸러 껍질을 제거한 단팥 앙금이다.

사는 사람 입장에서는 일단 먹어보지 않으면 어떤 종류의 팥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다. 때문에 빵에 참깨를 박아 팥 종류를 구분했던 것인데 보통은 앙금을 넣은 빵에다 참깨를 뿌렸다고 한다. 반면 통단팥을 넣은 빵에는 겨자씨를 뿌리거나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았다.

그러면 누가 처음 단팥빵에 참깨를 뿌렸을까? 최초의 인물은 기무라 야스베에라는 일본사람이다. 단팥빵의 기원을 잠깐 살펴보면 우리가 즐겨먹는 빵이지만 단팥빵의 원조는 한국이 아니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서양 빵도 아니다. 빵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이나 미국 어느 곳에서도 단팥빵을 찾아볼 수 없는 이유다.

단팥빵은 일본 메이지 시절에 기무라 야스베에가 서양의 빵과 동양의 만두를 결합시킨 퓨전음식으로 처음 만들었다. 최대한 단순화시켜보면 밀가루 반죽에 고기나 야채를 넣고 찌면 만두다. 반면 단팥을 넣고 찌면 찐빵인데 이것을 서양 빵처럼 구운 것이 단팥빵이라고 할 수 있다.

기무라는 1874년 제과점을 창업해 단팥빵을 팔기 시작했다. 그리고 고객만족경영 차원에서 빵에 참깨를 뿌려 내용물을 구분했던 것인데 이후 다른 제과점에서도 그대로 따라 하면서 전통으로 굳어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