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이선호의 베이스볼카페 : '갑'이 된 프로야구

2007년 굴지의 IT 통신기업 KT는 현대 유니콘스 인수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했다. 현대는 2007시즌을 끝으로 공중분해 됐다. 대신 2008년 우리 히어로즈가 현대 선수들을 물려받아 창단했다. 센테니얼 임베스트먼트라는 정체불명의 기업이었지만 7구단 축소에 대한 공포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창단을 승인했다.

그로부터 불과 4년이 지난 2011년 프로야구의 인기를 바탕으로 NC 다이노스가 9구단으로 프로야구계에 뛰어들었다. 1년 뒤 KT는 부영과 뜨거운 경쟁 끝에 열 번째 심장이 되었다. 프로야구계의 신임을 얻기 위해 1000억 원이 넘는 베팅을 했다. 5년 전이면 100억 원이면 끝났을 것이다.

최근 KBO는 NC의 연고지 창원시에 강력한 압박을 하고 있다. 2016년까지 새로운 구장을 짓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연고권을 박탈하겠다는 경고였다. 지방재정이나 행정절차를 감안한다면 새로운 구장 건립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단순한 압박은 아니다. 원하는 지역이 나오면 NC의 연고지도 옮길 태세이다. 10구단 싸움에서 수원에 패한 전북이 또 다시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불과 5년 만에 프로야구의 환경이 뒤바뀐 것이다. 이제 프로야구는 을이 아닌 갑이 되었다. 한때 구단 인수를 애걸했던 프로야구가 아니다. 당당히 최신식 야구장을 짓지 않거나 과감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연고권을 없애버리겠다고 호언할 정도로 힘이 생겼다. 바로 국민적 인기를 등에 없었기 때문이다.

KBO의 강공 드라이브는 10구단 체제를 확고하게 뿌리내리겠다는 의지일 것이다. 새로운 야구장 등 인프라를 확실히 갖춰 놓아야 '프로야구 르네상스'를 이끌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이미 광주와 대구는 새 야구장을 짓고 있으니 숙원이 풀리고 있다.

일본 프로야구는 매년 약 2500만 명의 관중을 동원한다. 한국은 아직 700만 관중에 불과하다. 10구단 체제와 인프라는 1000만 관중 동원의 초석이다. 좋은 시설이 아니면 관중 동원은 한계가 있다. 강력한 힘을 갖춘 프로야구가 출범 30년 만에 대도약기에 진입하고 있다.

/이선호 OSEN 야구전문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