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윤덕노의 푸드 스토리]불도장, 스님이 담장을 넘었다?



불도장, 스님이 담장을 넘었다?

불도장은 중국의 여름 보양식이다. 길 가던 스님이 집 건너에서 풍겨오는 맛있는 냄새의 유혹을 이기지 못해 담장을 뛰어넘고 파계했다는 음식이다. 부처 불(佛)·뛸 도(跳)·담장 장(墻)자를 써서 '스님이 담장을 넘었다'는 희한한 요리 이름이 여기서 비롯됐다.

불도장은 어떤 음식일까? 제대로 만들면 모두 서른 가지의 재료가 들어간다. 샥스핀·전복·해삼·사슴꼬리·생선입술·자라 등의 고대 산해진미와 버섯· 죽순·구기자 등 각종 약재를 전통 명주인 소흥주 항아리에 담아 연잎으로 밀봉한 후 다섯 시간 넘게 고아 만든다.

불도장은 왜 유명해졌을까? 부자들의 값비싼 음식 때문도 아니고, 스님이 파계할 만큼 맛있기 때문도 아니다.

분명한 사실은 음식 때문에 담장을 넘은 스님은 없었다. '항아리 뚜껑 여니 음식향기 사방에 진동하고/길 가던 스님, 참선도 포기하고 담장을 넘었다네.' 맛에 반한 손님이 지었다는 시로 불도장이라는 이름은 역사적 사실이 아닌 문학적 창작의 결과다. 널리 알려진 중국 요리 치고는 역사도 짧다. 기껏 백년을 조금 넘었을 뿐이다. 청나라 말기 푸젠성의 금융기관 책임자가 상급 감독관청 관리를 접대하려고 만든 것이 효시다.

지방요리에 불과한 불도장이 세계적 명품 요리가 된 직접적 계기는 중국 외교 덕분이다.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만찬음식으로 불도장을 준비했다. 여기에 스님이 담을 넘었다는 허구의 스토리까지 더해져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이 됐다.

불도장 이야기에서 중국의 문화와 역사가 만들어 내는 소프트파워가 느껴진다. 앞으로 다가 올 차이나 쇼크는 중국의 경제력이 아니라 문화의 힘이 아닐까 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