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키 이치로(40·뉴욕 양키스)가 얼마 전 개인통산 4000안타를 때렸다. 메이저리그에서 4000안타를 넘긴 선수는 피트 로즈(4256개)와 타이 캅(4189개)이었다. 그런데 일본 안타수가 포함돼 있어 메이저리그 4000안타와 견주기는 어렵다는 논란이 벌어졌다.
만일 이치로가 일본 오릭스가 아닌 1994년부터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다면 어떻게 됐을까. 아마도 경기수(162경기) 때문에 훨씬 많은 안타를 기록했을 수 있다. 이치로는 2001년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평균 200개가 넘는 안타를 때렸으니 어쩌면 로즈의 기록을 넘을 수도 있었다고 본다.
그는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베스트 툴스 플레이어'다. 탁월한 컨택 능력, 내야 안타 생산력까지 더해 안타 부문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빠른 발을 이용한 주루와 폭 넓은 수비력, 강한 어깨까지 갖췄고 경기를 읽는 영리함도 갖췄다.
더욱 높은 평가를 받는 대목은 노력과 성실성이다. 그는 풀타임 주전으로 발돋음한 1994년부터 정확하게 20년 동안 단 한번도 부상 장기 이탈이 없었다. 그만큼 자기관리에 철저하다. 훈련패턴은 언제나 똑같다. 오히려 음식은 편식이 있는 편이다. 야채보다는 불고기를 좋아하고 아내가 만들어준 카레를 즐기는 정도다.
그의 모토는 부상예방이다. "다치고 후회하지 않게끔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고 말한다. 일어나서 잘 때까지 시계추처럼 똑같은 패턴을 갖고 있다. 야구장 도착과 훈련시각은 한치의 틀림도 없다. 허리에 부담을 준다는 이유로 소파 대신 딱딱한 의자를 사용한다. 아울러 유연성을 기르는 훈련을 중시한다.
헤드퍼스트 슬라이딩은 피하고 심지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스파이크 대신 슬리퍼를 신는다. 심지어 끝내기 승리 직후 선수들끼리 격하게 몸을 부딪칠 때도 다치지 않도록 미리 충격완화를 생각한다고 한다. 이것이 높은 연봉을 받는 선수로서 자세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부상이 많은 한국 선수들이 한 번쯤은 생각해 볼 만한 자세가 아닌가 싶다. /OSEN 야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