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기 광고성 메일을 스팸메일이라고 한다. 스팸은 햄 통조림 상표인데 왜 엉뚱하게 광고성 전자우편에 이런 이름을 붙였을까?
스팸은 정확하게 말하자면 햄 대체 통조림이다. 미국 식품회사인 호멜사에서 햄 통조림을 개발했는데 통조림 제조 후 남는 돼지 어깨살이 처치곤란이었다. 부산물로 골치를 앓던 호멜사는 1937년, 다진 어깨살에 햄과 소금, 전분을 섞어 햄 대체 통조림을 만들었다. 바로 스팸(SPAM)이다. 돼지 어깨살과 햄(Shoulder of Pork And Ham)에서 따온 브랜드다. 싸구려 돼지 어깨살을 고부가가치의 햄 통조림으로 바꾼 것이다.
스팸이 나온 지 2년 후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영국은 전시 배급제를 도입했고, 햄 역시 통제품목에 포함됐다. 반면 햄 대체 통조림 스팸은 배급 종목에서 제외되면서 전쟁 중 연합군과 영국 국민에게 무제한 공급됐다. 전시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된 것이다.
영국은 전쟁이 끝난 후 1954년까지 배급제를 유지했는데, 햄은 배급제에서 풀려나지 못해 계속 통조림을 먹어야 했다. 영국인들이 드디어 통조림에 싫증을 내기 시작했다. 음식점 메뉴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스팸 통조림을 풍자하는 코미디 프로그램이 BBC 방송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쓸데없이 넘쳐나는 물건의 대명사가 된 것이다. 게다가 영국에서 PC통신시대에 코미디 프로그램의 스팸 대사를 인용해 게시판을 어지럽힌 사람까지 등장했다. 이런 사람을 스팸이라고 불렀다. 이후 인터넷 시대가 열리며 쓰레기 메일을 가리키는 용어가 됐다. 전쟁 때 허기를 달래주던 스팸이 졸지에 오명을 뒤집어썼다. 세상일이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치면 모자란 것만 못하다./음식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