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뉴스룸에서] 희비 교차한 박근혜와 아베



외교는 국제사회에서 교섭을 통해 국가간에 맺는 일체의 대외관계로 자국의 이익을 기반으로 한다.

그동안 박근혜 정부는 '독도 문제' '위안부 할머니 문제' '집단 자위권' 등 일본과 갈등의 골이 깊어지며 일본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저지른 범죄행위에 대해 진정한 반성과 사과를 하지 않는 이상 의미 있는 대화를 하기 어렵다는 뜻을 자주 비쳤다.

반대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요구하며 줄곧 대화를 하자는 입장을 견지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다자회의가 집중됐던 지난 10월에도 박근혜 대통령의 대화 거부로 한·일 정상회담은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일본과 대화를 무조건 거부하는 것처럼 비춰진 '박근혜식 대일 외교'는 국내 자본가와 중국·러시아를 견제하려는 미국, 더 많은 이득을 원하는 유럽 열강들의 비난을 받아왔다.

하지만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행하면서 박근혜식 대일 외교는 원칙에 입각한 것이었다는 명분을 얻는 계기가 됐다.

반면 아베는 미국 정부마저 "실망했다"는 성명을 이례적으로 발표하자 당황해하고 있다. 동맹관계 강화를 모색해온 미국으로부터 지지를 받기는커녕 불신을 자초한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미국 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28일자 사설에서 중국이 최근 동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해 한·미·일 3국이 안보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고, 특히 과거사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한·일 관계의 개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야스쿠니 참배가 이런 분위기를 망쳤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 오키나와현의 미군 후텐마 공군기지 이전 승인으로 미·일간 군사동맹이 한층 강해질 수 있게 됐지만 이번 참배로 상황이 복잡해졌다고 강조했다.

독일 언론 역시 아베 총리의 신사 참배는 의도적인 '도발'이기 때문에 더욱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각국의 일본 대사관을 통해 이번 참배가 '부전(不戰)' 맹세에 주안점을 둔 참배라는 입장을 각국에 끈질기게 전달할 방침이지만, 물밑에서 아베 정권에 야스쿠니 참배 자제를 요청해 왔던 미국을 비롯해 각 국의 이해를 얻기는 당분간 쉽지 않아 보인다. 아베의 도발이 한·일 양국의 외교에 어떤 득실을 가져다 줄지 궁금하다. /김민준 정치사회부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