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를 비롯한 지상파방송사의 탐욕이 무섭다. 경영정상화를 이유로, 수신료 인상과 중간광고 허용 등을 대놓고 홍보하며 국민을 압박하고 있다. 이미 국내 유료방송시장의 거대 권력으로 자리한데 이어, 간접광고 허용까지 얻어낸 마당에 이들의 요구는 끝이 없다.
특히 KBS는 공기인 자사의 각종 프로그램에서 수신료 인상의 정당성을 시청자에게 강요하기까지 한다. 재계에서는 이미 지상파방송사의 광고요청에 골머리를 썩고 있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고사성어에 '득룡망촉'이라는 단어가 있다. '(농)나라를 얻고나면 또 (촉)나라를 바란다는 뜻으로, 욕심은 끝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위나라 조조와 촉나라 유비가 싸우던 중국의 삼국시대가 배경이 된 고사성어다. 조조는 지금의 사천성인 섬서성 남쪽 농지방에 쳐들어가 그 일대를 수중에 넣었다. 조조의 부하인 사마의는 조금 무리하면 촉의 땅 모두를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건의했다.
조조는 "인간이란 '이 정도면 되겠다'며 만족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미 농을 얻은 마당에 촉을 바라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고 일갈했다.
눈을 아래로 돌려 일본의 사례를 보자. 일본의 최대 방송사인 NHK도 수신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KBS처럼 한번에 40%를 인상하려고 하는 일은 벌이지 않는다. 심지어 수신료 징수방식도 KBS와 다르다. NHK에 소속된 징수원들이 일일이 가가호호 방문하며 징수하는 방식으로, 징수율도 60%가량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반해 KBS의 수신료 징수율은 무려 90%를 훨씬 상회한다. KBS도 한때 NHK와 같은 징수방식을 채택했던 적이 있다. 그 유명한 전두환 정권 당시의 '땡전뉴스' 등으로 '수신료 납부거부'라는 여론의 뭇매를 맡고, 슬그머니 한전의 전기료에 이를 합산해 반 강제적으로 수신료를 받고 있다. 시청자들은 전기를 끊지 않는 이상, 의무적으로 수신료를 내야하는 상황인 것이다.
최근 노웅래 민주당 의원이 KBS수신료를 전기요금에 포함해 징수하는 것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했다. 이를 통해 KBS가 스스로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될지 지켜볼 일이다.
김충식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도 지난해 말 메트로신문과 인터뷰에서 "KBS 수신료 인상이 이뤄지기 위해 공영방송에 대한 재원구조의 안정화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전제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공영방송의 공정성과 신뢰성 회복이 관건"이라고 일갈한 바 있다.
KBS는 재정 악화가 심각하다고 주장하지만, 하위직급은 줄어드는 반면, 고위직은 늘어나는 역피라미드형 인력구조, 최근 4년간 KBS 순이익은 줄어들며 적자를 기록중임에도 KBS 사장 등의 연봉은 같은 기간 35%나 늘어난 점, 과도한 사내복지기금 출연 등 방만 경영 행태 등이 계속 지적돼 왔다.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뜻의 '반구저기'라는 고사성어가 있듯이 KBS는 자신들의 허물부터 다시 살펴봐야한다. '잘되면 조상 탓, 잘못되면 제 탓'이라는 새로운 속담을 만들어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