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은 정·재계는 대체로 올해를 '위기의 해'로 내다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집권 2년째를 맞아 경제 살리기를 가장 먼저 내세우면서 국가 안보, 그리고 비정상의 정상화를 올해 국정과제로 제시했다. 사실 국민행복을 신앙처럼 여겼던 박 대통령은 경제문제가 다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재계에서는 비장하리만큼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표현의 차이는 있지만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나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의 신년사에는 한결같이 위기의식이 강하게 담겨 있다. 심지어 이건희 회장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다"고 했다. 또 정몽구 회장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고, 구본무 회장은 "기업 경영은 위기 그 자체"라고 진단하면서 "1등 경영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역설했다.
사실 지금 세계경제는 유례없는 혼미 속에 저성장의 그늘이 짙게 깔려있다. 우리나라도 몇몇 대기업이 주도하는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불황의 터널을 헤매고 있다. 여기에다 북한의 정세가 예측하기 어려울만큼 급변하고 있어 안보불안을 가중시키는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고 경제 살리기를 뒷받침해야 할 정치권은 국민들로부터 혐오감만 키우고 있다. 유럽에서 비교적 안정된 나라와 국가부도 등으로 불안한 나라의 특징은 대체로 두 가지로 집약된다. 안정된 나라는 정치가 타협과 화합으로, 노사관계가 협력과 상생으로, 불안한 나라는 정치가 불신과 갈등으로, 노사관계가 대립과 투쟁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장기목표를 세워 목표가 달성되기까지는 정쟁과 파업을 자제하는 사회협약을 맺어 나라 발전을 추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불행하게도 세계에서 가장 갈등의 골이 깊은 사회이다. 물론 터키가 우리보다 지수 상으로는 더 갈등을 겪는 나라이지만 종교적인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면 우리나라가 제일 심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통합을 주도해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사회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가 보다 성숙되고 선진국으로 나아가자면 무엇보다 정치발전이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만 경제살리기도 가능하고 국가안보도 튼튼해진다. 비록 올해가 위기의 해라고 하지만 정치를 비롯해 고른 분야에 혁신이 가해진다면 나라발전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정치발전이 다가오는 위기를 극복하는 최대의 해법이다. 여야를 떠나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