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민웅의 인문학산책] 일목요연(一目瞭然)



일본 국회에서 벌어진 일이란다. 한쪽 눈이 없는 어느 정치인이 상대 정당의 정책을 조목조목 비판하자 반박할 근거를 대지 못한 쪽 의원이 이렇게 말했다. "눈도 하나밖에 없는 주제에…." 그러자 공격을 받은 의원이 "네, 저는 한쪽 눈밖에 없어 모든 것을 일목요연하게 꿰뚫어볼 수 있지요"라고 응수했다. 폭소가 터지고 인신공격을 한 쪽은 완패한 꼴이 됐다.

'일목요연'의 본래 뜻은 한눈에 척 봐도 명쾌하게 드러난다는 건데, 그걸 이 눈 하나밖에 없는 정치인은 멋진 반격의 부메랑으로 활용할 줄 알았다. 존엄한 사회의 감정사회학을 제창하고 있는 김찬호 교수가 최근에 펴낸 책 '모멸감'에 소개된 실례다. 링컨이 선거 중에 두 얼굴을 가진 이중인격자라는 모함에 대해 "그게 사실이면 감히 이 얼굴을 내놓고 다닐 수가 있겠습니까?"라고 말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모멸의 대상을 도리어 그 사람만이 가진 장점으로 역전시킨 발상의 유쾌함이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이렇게 재치로 대응하는 능력을 갖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대개는 모멸의 언사나 행위로 해서 마음과 영혼에 상처를 받는다. 좌절과 분노, 또는 슬픔은 모멸이 가하는 학대의 결과다. 힘이 없거나 출신이 처진다고 여겨지거나 가난하거나 행색이 남루하다거나 하는 것들은, 사람들에게 이런 가해행위를 별 부담 없이 하게 만드는 조건들이 된다.

다들 그 저주의 목록에서 빠져나오려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하지만 그 경쟁은 또 다른 상처와 모멸의 무대가 된다. 악순환이다.

박재동 화백이 전시회를 하고 있다. 벽에 걸린 그림 하나에 이런 글귀가 쓰여 있다. "사람들은 어디서 사는가? 자기가 인정받고 사랑받는 곳에서 산다. 그렇지 못하면 살 이유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심지어 죽고 싶어 한다. 이것이 사람이다." 인간의 존재 이유를 관계 속에서 명쾌하게 토로하고 있다. 모멸감을 느끼도록 만드는 사회나 관계는 죽음의 병을 키워가는 곳이다.

상대를 밟고 행복하다고 여기는 이들이 있다. "우월감은 행복이 아니다." '모멸감'의 한 대목에 적힌 글귀다. 다른 사람의 약점을 들춰내거나, 자기의 권세로 약자를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 자신에게 행복의 이유가 되는 사회는 비루하다. 인간을 존엄하게 대하는 이는 한눈에 척 봐도 그 얼굴빛이 남다르다. 일목요연한 정신세계를 가지고 있다. 한쪽 눈이 없는 경우일지라도.

/성공회대 교수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