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윤덕노의 푸드스토리]우리나라 최초의 만두는 효도만두

윤덕노





삼국지를 읽어 보면 만두는 제갈공명이 만들었다고 나온다. 하늘의 노여움을 달래야 하는데, 차마 산 사람을 죽일 수 없어 대신 사람머리 모양으로 만두를 빚어 하늘을 속이고 제사를 지낸 것이 효시라는 것이다. 소설 속 이야기지만 실제로 만두라는 이름이 처음 문헌에 나오는 시기는 제갈공명이 살았던 삼국시대다. 그렇다고 진짜 제갈공명이 만두를 만들었다는 것은 아니다. 따지고 보면 만두는 뿌리가 중국인지 서역인지도 확실치 않다.

중국은 그렇다고 치고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어떻게 만두를 먹게 됐을까?

흔히 중국에서 전해졌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우리 문헌에 처음 보이는 만두는 거란을 통해서 들어왔다. 중국이 아닌 서역에서 직접 전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만두 이야기는 고려사(高麗史)에 보인다. 12세기 말, 고려 명종 때 거란에서 귀화한 고려인 위초(尉貂)가 만두를 만들었다고 나온다.

위초의 부친이 몹쓸 병에 걸렸다. 의원이 아들의 고기를 먹으면 병이 나을 수 있다고 하자 이 말을 들은 위초가 스스로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만두를 빚어 부친께 공양하니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의 병이 나았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위초의 효심이 고금에 없을 정도로 갸륵하다며 상을 내렸다.

고려사 중에서도 효자들의 이야기를 모아놓은 효우열전(孝友列傳)에 나오는 내용이다. 옛날 효자들은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아픈 부모를 치료했다. 지극한 효심의 상징으로 할고료친(割股療親)이라고 한다. 제갈공명의 만두가 생사람의 목숨을 살렸다면 고려인 위초의 만두는 부모님의 생명을 구했다.

만두 이야기는 모두 속이 꽉 찬 만두처럼 인간미가 넘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 지금과 달리 옛날에는 만두가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을 만큼 귀하고 좋은 음식이었기 때문이다. 세종실록에는 만두는 제사를 지낼 때나 특별히 만들어야 한다고 했을 정도였다.

오늘 어버이 날이다. 카네이션과 함께 옛날의 만두에 버금가는 맛난 음식이라도 대접해 드려야겠다.

/음식문화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