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부터 약 44년 전인 지난 1970년 4월 8일, 잘 서있던 5층짜리 아파트가 입주가 시작된 지 채 한 달도 안 돼 갑자기 우르르 무너져 내렸다. 서울시가 시내 곳곳에 건립한 시민아파트 406개동 가운데 하나였던 서울 마포구 창전동의 '와우아파트'다.
사고 30분 만에 경찰과 소방대원 그리고 예비군과 미8군 공병대원 등이 출동해 사고 수습에 전력을 다했지만 대형건물 붕괴 현장에서 생존자를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결국 이 사고로 16가구 주민 73명 가운데 33명이 사망하고 4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그나마 입주 예정이던 30가구 가운데 절반만 입주한 상태에서 붕괴됐으니 망정이지 만약 모든 가구가 입주한 상태에서 이런 사고가 났다면 피해 규모는 훨씬 컸을 것이다.
도시 서민들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건설된 와우아파트는 박정희 대통령이 준공식에 친히 참석해 테이프를 끊었을 정도로 대내외의 관심을 받던 아파트였다. 그러나 마치 군사작전을 하듯 채 3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4백 개 동이 넘는 시민아파트를 지었으니 부실공사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특히 와우아파트를 비롯한 당시 대부분의 시민아파트들은 급경사 위에 지어졌는데 그 이유는 한 가지였다. 김현옥 당시 서울시장의 한 마디가 이를 대변한다. "야 이 새끼들아, 높은 곳에 지어야 청와대에서 잘 보일 것 아냐!" 와우아파트와 같은 시민아파트 건설사업은 사실상 도시 서민들의 주거 환경 개선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 전형적인 전시행정, 졸속행정에 다름 아니었다.
와우아파트 붕괴 사고 이후 44년이 흘렀다. 그 사이 성수대교가 무너져 내렸으며 삼풍백화점 역시 붕괴됐다. 과연 와우아파트와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그저 흘러간 옛 이야기라고 치부할 수 있을까? 요즈음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보면 한국 사회가 와우아파트로부터 얻은 교훈은 없어 보인다.
/'다시 서울을 걷다'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