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온두라스·일본·이란·코트디부아르 등 부진 책임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탈락의 수모를 겪은 감독들이 하나둘씩 사령탑에서 물러나고 있다.
26일 현재까지 G조와 H조를 제외한 나머지 6개조가 조별리그 일정을 마쳐 12개국이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16강 진출팀이 속속 결정되면서 축구 열기는 한층 달아오른 반면 탈락한 국가들은 침통한 분위기다. 16강 탈락이 확정된 감독들은 줄줄이 사퇴한다.
가장 먼저 사퇴의사를 밝힌 감독은 이탈리아의 체사레 프란델리다. '죽음의 D조'에 편성된 이탈리아는 우루과이, 잉글랜드, 코스타리카와 경기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희생양이 됐다.
프란델리 감독은 지난 25일 우루과이전에서 패해 탈락이 확정되자 즉각 사의를 표명했다. 그는 "전술적인 부분이 준비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온두라스 축구 대표팀의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감독도 16강 탈락 직후 지휘봉을 내려놨다. 온두라스는 26일 대회 조별리그 E조 3차전에서 스위스에 0-3으로 완패했다. 프랑스에 0-3, 에콰도르에 1-2로 패해 벼랑 끝에 몰렸던 온두라스는 이날 승리하면 프랑스와 에콰도르의 경기 결과에 따라 16강에 오를 가능성이 작게나마 있었다.
하지만 제르단 샤치리(바이에른 뮌헨)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며 결국 3패로 씁쓸하게 대회를 마감했다.
이번 대회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사령탑들도 잇달아 사퇴를 결정했다. 이란의 카를로스 케이로스 감독과 C조 일본의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이 각각 월드컵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케이로스가 이끈 이란은 이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1-3으로 패했다. 이로써 이란은 1무2패로 F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케이로스는 경기가 끝난 후 "이란 축구협회로부터 연장 계약 제의를 받지 못했다"면서 "그동안 이란을 위해 일해 영광이었다"고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25일 콜롬비아와의 C조 최종전에서 대패하며 탈락이 확정된 일본의 자케로니 감독도 이날 사퇴를 결정했다. 자케로니 감독은 일본 베이스캠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책임은 모두 나에게 있다. 나는 이 자리를 떠나야 한다"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일본과 같은 C조에서 탈락한 코트디부아르의 사브리 라무쉬 감독도 전날 사임을 결정하는 등 이번 월드컵을 통해 지휘봉을 내려놓은 감독은 벌써 5명이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