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 감독 유임 결과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본선에서 부진한 성적을 낸 홍명보 한국 축구 대표팀 감독이 새로운 항해를 시작한다. 홍 감독은 내년 1월 열리는 2015 AFC 아시안컵까지 지휘봉을 잡았다.
그러나 브라질 월드컵에서 1998년 프랑스 대회 이후 16년 만에 최악의 성적(1무2패)를 거둔 홍 감독의 여정은 결코 쉽지 않다. 무엇보다 대표팀 사령탑에 대한 팬들의 신뢰가 추락한 상황에서 홍 감독은 앞으로 이어지는 평가전 성적에 따라 또다시 '자질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여기에 새롭게 대표팀을 구성하더라도 이번 월드컵에서 불거진 '의리 논란'의 꼬리표도 발목을 잡을 것이다.
결국 홍 감독은 팬들의 신뢰를 쌓기 위해 차별화된 선수 기용과 전술을 통해 좋은 성적을 거둬야 하는 숙제를 떠안게 됐다. 아시안컵의 성적에 따라 홍 감독의 '자질 논란'은 종지부를 찍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홍 감독은 아시안컵에서 명예회복을 노려야 하지만 호재보다 악재가 더 많다. 한국은 역대 아시안컵에서 두 차례(1956년·1960년) 우승했지만 마지막 정상에 오른 게 무려 54년 전이다.
1988년 아시안컵에서 준우승한 이후 지금까지 3위 이상의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월드컵에만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아시안컵에 소홀했던 게 부진한 성적의 원인이었다.
아시안컵에서 우승하면 국제축구연맹(FIFA) 콘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월드컵 1년 전에 열리는 콘페더레이션스컵은 각 대륙컵 우승팀들이 출전하는 만큼 대표팀의 실력을 제대로 점검할 수 있는 자리다.
이 때문에 축구협회도 2000년대 들어 아시안컵에 많은 신경을 써왔지만 일본과 중동 국가에 밀려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더구나 2011년 대회부터 1월로 대회 기간이 바뀌면서 대표팀으로서는 선수 선발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1월은 시즌을 마친 K리그 팀들이 전지훈련을 시작하는 때다. 선수들의 컨디션이 바닥을 칠 시기다. 하지만 '영원한 라이벌' 일본도 상황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선수 컨디션을 문제로 삼을 수 없다.
다만 아시안컵이 FIFA에 등록된 대회여서 해외파 선수를 차출할 수 있지만 월드컵과 달리 대회 직전 부를 수밖에 없어 탄탄한 조직력을 꾸리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대표팀은 오는 9∼11월 사이에 총 6차례의 A매치를 치를 수 있고, 이 가운데 3∼4차례의 평가전을 치른다는 계획이다.
올해 A매치를 통해 대표팀이 훈련할 수 있는 시간은 길어야 8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브라질 월드컵 참패로 팬들에게 신뢰를 잃은 홍 감독이 어떤 카드를 활용해 한국 축구를 이끌지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