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으로 만드는 와인에서 전세계 최고로 손꼽히는 샤토 마고(Chateau Margaux)는 '프랑스의 자존심'이다. 1855년 파리 만국박람회 때 그랑크뤼 1등급으로 선정된 4개 샤토(현재는 5개) 중에서도 으뜸이었다. 시간의 흐름 속에 주인도 바뀌고 품질의 위기도 겪었지만 부활에 성공한 지금, 여전히 톱 클래스의 와인을 만든다.
흔히들 샤토 마고 와인을 '벨벳'에 비유한다. 강인한 골격임을 부드러움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포도나무는 피레네 산맥에서 흘러 내려온 자갈밭에서 억척스럽게 자라 열매를 맺는다. 수확 후 발효를 거쳐 숙성하면서 오랜 시간 인내해 최고의 와인으로 탄생했다는 점에서 프랑스인들은 자기 민족을 닮았다고 생각한다.
샤토 마고는 지역적으로 와인의 메카 보르도에 속한다. 보르도는 카베르네 소비뇽의 고향이다. 카베르네 소비뇽이야말로 보르도 와인을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올려 놓은 주인공이다.
프랑스도 우리나라의 도-군-면-리 행정구역과 같은 구조로 세분화된다. 보르도를 관통하는 지롱드강 하류를 바라보면서 왼쪽에 메독이 있다. 메독은 다시 하류 지역의 바메독과 상류 언덕 지형의 오메독으로 나뉜다. 바로 이 오메독에 △생떼스테프 △생쥘리앵 △뽀이악 △리스트락 △물리 △마고 등 6개 마을이 있고 여기에 그랑 크뤼 5개 등급 61개 샤토가 몰려 있다. 샤토 마고는 바로 마고 마을의 터줏대감이자 프랑스 와인 문화의 중심이었다.
역사적으로도 샤토 마고는 큰 족적을 남겼다.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 전쟁은 보르도 지방의 쟁탈전이었다. 손녀의 이름을 마고라고 지을 만큼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사랑한 와인이며, 미국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주 프랑스 공사로 재직할 때 샤토 오브리옹과 함께 극진히 아꼈던 와인이었다. 독일의 수상 아데나워가 1949년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세계대전을 일으켜 프랑스인에게 고통을 안긴 것'을 사죄했던 장소가 바로 샤토 마고다. 프랑스인에게 샤토 마고는 그들의 역사와 문화의 한 가운데서 빛나는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