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와이번스 이재원(26)과 KIA 타이거즈 김주찬(33)이 인간의 한계로 불리는 '꿈의 타율(4할)' 레이스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재원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네 번째로 75경기 이상 타율 4할을 기록하고 있으며, 김주찬은 최근 무섭게 타율을 끌어올리며 추격에 나섰다.
이재원은 팀이 75경기를 치른 7일 타율 0.401을 기록했다. 고 장효조(당시 삼성 라이온즈)가 1987년 기록한 '71경기 타율 4할'을 넘어선 이재원은 이제 백인천(당시 MBC 청룡)이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에 달성한 '80경기 타율 4할'에 도전한다.
백인천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유일한 4할 타자다. 1982년 한국 프로야구는 팀당 80경기만 치렀고, 감독 겸 선수로 뛴 백인천은 0.412로 시즌을 마쳤다.
팀당 128경기를 치르는 올해 '시즌 타율 4할'을 기대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경기 수'로 기준을 바꾸면 이재원은 백인천의 기록에 근접했다.
또 팀 경기 수를 기준으로 이재원보다 오랫동안 타율 4할을 유지한 타자는 백인천을 포함해 세 명뿐이다. '바람의 아들' 이종범(현 한화 이글스 코치)은 해태 타이거즈에서 뛴 1994년 팀이 104경기를 치를 때까지 4할을 지켰다. 또 한화 이글스 김태균도 2012년 89경기 동안 타율 4할을 기록했다. 이재원이 백인천의 80경기에 도달하면 김태균의 기록도 가시권에 들어온다.
반면 부상으로 현재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한 김주찬도 무서운 속도로 타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김주찬은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해 올 시즌 타격 순위표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지만, 지난달 20일 두산 베어스와의 잠실 경기를 시작으로 5일 목동 넥센 히어로즈전까지 10경기 연속 멀티히트(한 경기 2안타 이상)를 치며 시즌 타율을 0.391로 끌어올렸다.
김주찬은 4월 16일 오른 발바닥 부상, 5월 왼쪽 새끼손가락 부상으로 두 차례 1군 엔트리에서 제외돼 7일까지 49경기에만 나섰다. 하지만 부상 복귀 후 꾸준히 경기에 나서며 규정타석 진입을 눈앞에 뒀다.
226타석에 들어선 그는 규정타석(233타석·팀 경기 수 X 3.1타석)에 7타석이 부족하다. KIA는 7일까지 75경기를 치렀다. 김주찬이 현재 몸 상태를 유지한다면 팀의 85경기 내외에서 규정타석에 진입할 수 있다.
김주찬은 3~4월 15경기 0.258, 5월 7경기 0.375, 6월 22경기 0.467, 7월 5경기 0.526으로 점점 타율을 끌어올렸다. 이 정도 속도라면 규정타석 진입과 함께 타율 4할을 넘어설 수 있다.
어느덧 반환점을 눈앞에 둔 프로야구의 열기가 이재원과 김주찬의 '꿈의 타율' 경쟁으로 한층 고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