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홈쇼핑에 이어 대형 유통업체인 홈플러스가 직원들의 경품 조작에 이어 경영진까지 합세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판매했다는 의혹까지 받으면서 '비리의 온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최근 이 회사가 질타를 받고 있는 사건은 직원들의 경품 조작이다. 회사 측이 소비자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고급 외제차 등 수천만원 상당의 경품을 내건 고객 이벤트를 열었지만 내부 직원들의 배만 불려준 것이다.
실제로 경찰 조사 결과 홈플러스 보험서비스팀 정모 과장과 공범인 팀원 최모씨와 최씨의 친구 A씨, 경품추천을 담당한 협력사 직원 B씨 등이 2012년 5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진행된 네 차례의 고객 대상 경품행사에 지인의 명의로 응모한 뒤 1등으로 당첨되도록 결과를 조작해 총 4대의 승용차 경품을 받아 되팔아 불법 이익을 남겼다.
동반성장지수 3년 연속 최하위 등급 선정은 물론 납품업체 대상 '갑질' 논란까지 이어지면서 신뢰도가 바닥으로 떨어진 홈플러스에 이번에는 경영진이 고객 개인정보 유출에 개입됐다는 정황이 사정 당국에 포착되면서 이 업체가 쓰는 '막장 드라마'의 끝은 어디인지에 궁금증이 더해지고 있다.
이승한 전 홈플러스 회장(완쪽)과 도성환 사장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에 따르면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홈플러스 본사 압수수색 과정에서 고객 개인정보를 보험회사에 불법 판매하는 데에 이승한 전 홈플러스 회장과 도성환 사장이 의사결정에 참여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합수부는 이 전 회장과 도 사장 등 전·현직 경영진을 수사 선상에 올려놓고, 출국금지 조치까지 내렸다.
홈플러스 노조 등은 최근 5년간 경품 행사를 빌미로 수집한 개인정보를 건 당 2000원에서 4000원씩 받고 보험 회사 등에 팔아 수십억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매장 계산원에게 응모권 한 장당 100원 씩을 지급하고, 점포별로 실적 순위를 매기는 등 회사가 직원들에게 응모권 모집을 독려했다는 내부 직원들의 구체적인 제보까지 이어지고 있다.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도 최근 홈플러스 본사에 조사관을 파견해 최근 문제가 불거진 경품 이벤트 조작과 판매장려금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사실 관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계속되는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의 비리가 살아나려고 몸부림 치는 관련 업계에 '찬물을 끼 얹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낳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