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윤덕노의 푸드스토리]미녀가 환생한 듯...가리비



바람이 쌀쌀해 질 무렵, 가을 바닷가 낭만을 더해 주는 것이 조개구로 쫄깃한 가리비가 특히 입맛을 사로잡는다. 가리비는 사실 보통 조개가 아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옛 사람들은 모두 최고의 미녀가 가리비로 환생했다고 믿었다.

가리비 별명은 서시의 혀(西施舌)다. 쫄깃쫄깃한 육질이 마치 서시와 입맞춤하는 듯한 환상을 품게 만들었던 모양이다. 서시는 양귀비, 초선, 왕소군과 함께 중국 4대 미인으로 꼽히지만 그 중에서도 최고 미녀라는 평가를 받았다. 몸매가 풍만했던 양귀비와 달리 버들처럼 가냘프고 하늘하늘한 자태를 지녀 남자의 보호본능을 자극했다. 가녀린 서시가 눈살을 찌푸리면 그 모습이 어찌나 사랑스러운지 뭇 남성의 애간장이 녹았다는데 이웃집 추녀가 흉내 내다 웃음거리가 됐다는 서시빈목(西施?目)의 고사도 있다.

나라를 위태롭게 할 정도라는 경국지색의 미녀였기에 서시는 와신상담의 주인공 월왕 구천이 오왕 부차에게 복수하려고 보낸 미인계의 희생양이 됐다. 계획대로 오나라는 멸망을 했고 서시도 쓸모가 없어졌다. 전설에 의하면 서시를 그대로 살려두었다가는 월왕 구천 역시 서시의 미모에 빠져 나라를 망칠까 두려운 나머지 서시 몸에 돌을 매달아 바닷가에 수장시켰다고 한다.

그 후 어느 날 바닷가 해변에 못 보던 조개가 나타났다. 조개 살이 마치 사람의 혀를 닮았기에 사람들은 죽은 서시가 살아 돌아온 것 같다며 낯선 조개 가리비에다 서시의 혀라는 별명을 지었다. 미녀의 죽음도 안타깝고 가리비의 맛도 기가 막혔기에 생긴 별명이다.

서양에서도 가리비는 전통적으로 부활의 상징, 생명의 아이콘으로 여겼다. 때문에 미의 여신 비너스가 가리비에서 환생한 것으로 믿었으니 르네상스 시대를 연 이탈리아 화가 보티첼리의 '비너스 탄생'에서 파도의 거품에서 태어난 비너스가 가리비 껍질에서 나오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 혹시 가을에 조개구이 먹을 기회가 있다면 동서양 미녀를 만나보는 것도 좋겠다.

/음식문화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