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인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벌이는 갈등이 심상치 않다. 김무성 대표의 개헌론으로 불거진 불협화음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다. 김 대표가 자신이 실수했다면서 진화에 나섰지만 청와대는 원색적으로 면박을 주며치고받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매우 불편하고 불안하다.
세월호특별법을 놓고 5개월 가까이 여야 간 대치로 파행을 거듭한 국회가 이제 가까스로 문을 열어 가동 중이다. 지금 국민들은 하루빨리 민생법안을 국회에서 처리해 경제살리기를 뒷받침해줄 것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집권여당인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삐걱거리는 바람에 실망이 크다. 그렇지 않아도 새누리당은 최경환 경제팀이 내세운 사내유보금 과세와 재정확장정책에도 공개적으로 반대해 불편한 관계의 씨앗이 되었다.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개혁, 규제개혁, 공기업개혁 등 3대 공공부문 개혁도 당·정 사이에 마찰을 빚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당인 새누리당은 선진화법을 탓하며 야당과 협상다운 협상한 번 못하고 야당에 끌려 다니며 국회를 공전시켰다. 대다수 국민정서는 '식물국회'의 책임을 야당에 돌리고 있지만 여당도 자유롭지 못하다. 설상가상으로 김태호 최고위원이 김 대표와 청와대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돌연 사퇴해 김 대표 체제에 깊은 상처를 입혔다. 이 바람에 새누리당은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김 대표는 취임 초만 해도 지지율이 높아 차기 대선 여당후보로 1위를 보였다. 그러나 이제 신중하지 못한 정치행보로 내리막길을 가고 있다.
이러한 새누리당의 위상은 박근혜 정부도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물론 당·청간 갈등과 당내 불협화음을 수습하자면 김 대표가 앞장서야 한다. 그러나 지금 벌어지고 있는 갈등을 해소하자면 대통령이 직접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김 대표는 이른바 '비박'으로 분류되면서 일반 국민들 사이에 대통령과 껄끄러운 사이로 비쳐진지 오래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그동안 당·청 안팎의 불필요한 오해와 억측을 떨쳐버릴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늘 소통의 문제로 비판 받고 있는 대통령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당·청관계를 대통령이 나서서 정상화 시킨다면 그동안'불통'의 이미지도 씻을 수 있다. 김 대표를 직접 만나 당·청관계를 조속히 복원하고 나아가 당·정관계를 원만하게 가동시켜야 그토록 갈망하는 경제살리기도 힘을 받을 수 있다.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