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에 부착된 라벨의 와인 이름에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는 몇 가지 패턴이 있다. 그 패턴만 알고 있어도 와인을 살 때 많은 도움이 된다.
첫째는 와이너리 또는 포도밭의 이름이 와인의 상품명이 된 케이스다. 프랑스 보르도와 부르고뉴 지역이 대표적인 예다. 보르도는 와이너리가 샤토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거의 대부분이 샤토의 명칭을 와인 상품명으로 사용한다. 부르고뉴 역시 포도원 이름을 와인명에 붙인다. 미국 나파밸리의 로버트 몬다비나 오퍼스 원과 같이 국제자본이 설립한 대규모 와이너리도 같은 사례다.
산지명이 그대로 와인의 이름이 된 경우도 많다. 이탈리아가 대표적이다. 바롤로, 바르바레스꼬, 끼안띠 등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유명한 와인들이 그러하다. 품종과 지역을 같이 쓰기도 한다.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는 몬탈치노 지역에서 브루넬로 포도로 만든 와인이라는 뜻이다. 프랑스의 경우 상파뉴(영어표기로는 샴페인)나 샤르도네의 메카 샤블리, 보졸레 등이 지역명을 사용한다.
포도 품종이 그대로 와인 브랜드가 되기도 한다. 미국 호주 등 신세계 와인에서 많이 찾아지며 리슬링,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피노 누아 등 전세계로 퍼져 널리 재배되는 국제품종이 와인명으로 쓰인다.
칠레는 이름의 유래가 다양하다. 까르메네르 등 칠레의 대표 품종을 이름으로 쓰는 경우가 있지만 상당수 와인 메이커들은 자신만의 브랜드를 개발해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이나 이벤트를 상품명으로 한 케이스가 많다. 유명 와인 메이커 산타 리타의 '120'이라는 와인 이름은 스페인에 대항해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오히긴스 장군이 한 때 전쟁에 패해 120명의 군인과 함께 이 와이너리에 몸을 숨겼던 데서 비롯됐다. 콘차이 토로의 '카시제로 델 디아블로(Casillero del Diablo)'는 '악마의 셀러(와인 저장소)'라는 의미다. 인부들이 몰래 와인을 꺼내 마신 탓에 저장고의 와인이 줄어들자 사장이 지하실에 숨어 귀신 소리를 내어 인부를 쫓아냈다는 데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