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권기봉의 도시산책]'일본군 장교 관사'의 운명은?



서울 상암동은 2002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본격 개발되기 시작한 지역이기에 역사의 흔적이 없을 거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수많은 시민들이 찾는 하늘공원과 노을공원만 해도 현대 생활문화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공원 지하에 묻혀 있는 어마어마한 양의 '쓰레기'가 그것이다.

두 공원은 지난 1978년부터 93년까지 이용됐던 난지도 쓰레기매립지를 흙으로 덮어 만든 '인공' 산이다. 15년 동안 쌓은 양이 무려 8.5톤짜리 트럭 1,300만 대분에 달했다. 재미있는 것은 매립지를 흙으로 덮어 공원으로 만들 때 고고학자들이 발굴 연습을 하기도 했다는 점인데, 당대 시민들이 과연 무엇을 먹고 입고 이용했는지 그리고 어떤 질병이 돌았는지 등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쓰레기 고고학'에 눈을 뜨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북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상암월드컵파크10단지 아파트 옆의 부엉이근린공원에서는 일제강점기의 흔적도 찾아볼 수 있다. 1930년대에 지은 위관급 장교들의 숙소 즉 '일본군 관사'가 그것으로, 2005년 대규모 택지를 조성하면서 22개 동의 존재가 확인됐다. 1970년대에는 그린벨트로 묶여 있었고 1990년대 초까지는 쓰레기매립지 근처에 있었기에 오랜 시간 동안 철거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

다만 일본군 관사를 향한 시민들의 시선은 하늘공원이나 노을공원의 경우와 사뭇 달라 보인다. 쓰레기매립지는 시민들이 찾는 공원으로 거듭났지만 일본군 관사를 향한 원성은 높아만 가고 있다. 문화재청이 "일제의 아시아 침략을 여실히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보존 가치가 있다"며 22개 동의 관사 가운데 2개 동을 원래 위치에서 130미터 떨어진 지금의 자리에 복원하고 근대문화재 등록예고를 했으나, 근처 주민들이 "왜 굳이 부정적인 역사 흔적을 남겨두느냐, 자랑스럽지 않은 역사 흔적을 문화재라며 보호할 필요가 있느냐"고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제의 침략을 경험했던 나라라고 모두 같은 형편은 아니다. 가까운 중국만 해도 일제의 폭력이 응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뤼순감옥을 근현대 역사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고, 뤼순 곳곳에 산재한 일제의 승전탑들도 부수지 않고 보존하고 있다. 부정적 역사가 서려있는 유산을 보존하고 역사교육의 장으로 삼음으로써 다시는 같은 상황을 초래하지 말자는 의지를 되새기려는 것이다.

상암동의 일본군 관사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주민 반발도 심하고 찾는 이도 없는 일본군 관사 앞에서 역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다시,서울을 걷다' 저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