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뉴스룸에서] 구제역 확산 방지에 총력 기울여야



4년 전 전국을 강타했던 구제역 공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초 충북 진천의 한 돼지사육농장에서 발생한 뒤 불과 한달여 만에 충남·경북·경기 등 전국 4개 도 13개 시·군으로 구제역이 확산됐다. 특히 지난 6일에는 경기도 안성의 한 한우농장에서 소까지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았다. 7일까지 구제역으로 살처분한 돼지가 2만8000여 마리이며 보상금·방역비용 등을 포함하면 1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2010년 11월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이듬해 4월까지 전국으로 확산, 가축 348만 마리가 살처분됐고 2조7000억원이 넘는 큰 피해를 겪고도 구제역에 대한 정부의 방역체계는 여전히 허술하다. 정부는 이번 구제역 발생 한달이 넘도록 발병 원인과 경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예방백신을 접종하지 않아 항체형성률이 떨어지는 농장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이다.

정부의 구제역 초기 대응도 허술했다. 지난해 12월 3일 구제역 신고가 처음 접수됐지만 당시 정부는 대부분 농가에서 백신을 접종해 확산은 없을 거라고 언급했다. 발병농가 반경 10km 안에서 차량을 통제하고 소독을 실시했지만 결국 한달새 전국 13개 시·군으로 구제역이 번졌다.

농가에서는 백신의 효과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백신을 접종하면 스트레스로 가축이 잘 자라지 않고 육질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백신업체에 따라 백신의 항체 형성률이 최저 1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농가의 접종 불신이 높아지고 있다.

구제역이 확산되고 다음 달 설 구정까지 겹치면 쇠고기와 돼지고기 가격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경기침체로 인해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 가계의 주름살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구제역의 혈청형은 종전에 발생한 'O형'이지만 유전자형이 다르고 전파력도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더 불안하다. 방역망이 뚫리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진다. 4년 전의 악몽이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 당국은 피해가 더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망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또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백신의 성능을 개선하는 등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