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이호일의 항공세상] 해리슨포드 사고로 본 비상착륙시 승객대처 요령

이호일 중원대학교 항공운항학과 교수



영화 '인디아나존스'로 유명한 미국의 영화배우 해리슨 포드가 며칠 전 항공사고를 당했다.

2차 대전 때 사용됐던 군용기를 취미로 비행하던 중 엔진 이상으로 비행장이 아닌 골프장에 비상착륙하다가 항공기가 파괴돼 머리 부분의 부상을 입은 것이다.

최근 대형 여객기들이 눈이나 비가 와서 미끄러운 활주로에 착륙하던 중 착륙 방향 유지를 적절하게 하지 못해 활주로를 벗어나거나 앞바퀴가 부려져 지상에서 비상탈출을 하는 사고가 몇 건 있었다.

지난 4일 승객 224명을 태운 터키항공 소속 에어버스 A330 여객기가 네팔 수도 카트만두의 트리부반 공항에 착륙 도중 활주로에서 미끄러지는 사고를 일으켰다.

항공기의 앞바퀴가 부러지면서 급작스럽게 정지하는 바람에 승객이 다치고 공항운영을 사실상 중단했다.

네팔에는 해당 항공기를 끌어낼 장비가 없어 공항이 폐쇄되고 인도에서 장비를 가져와야만 활주로에 정지된 항공기를 끌어낼 수 있다고 한다.

이 여파는 우리나라 인천공항에도 영향을 미쳐서 히말라야로 트래킹가려는 손님들을 태우고 출발하려던 항공기가 인천공항에서 카트만두공항이 재개되기를 기다렸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5일 오전 애틀랜타를 출발해 뉴욕 라과디아 공항에 착륙한 델타 1086 항공편이 활주로에서 미끄러진 뒤 울타리에 충돌했다고 밝혔다.

당시 여객기에는 125명의 승객과 5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행장 외각 울타리와의 충돌로 인해 일부 승객이 다치고 항공기의 앞부분과 앞바퀴가 파손됐다.

대형 항공사의 항공기를 조종하는 기장들은 눈이나 비가 올 때에도 이륙이나 착륙을 한 경험이 많다.

미끄러운 활주로에 착륙하는 절차도 수시로 교육을 받는다.

실제 항공기와 유사한 해당 기종의 시뮬레이터에서 1년에 2번 이상 '미끄러운 활주로에서 착륙훈련'을 의무적으로 받는 것이다.

그러나 항공기의 착륙 속도가 워낙 고속이고 바람도 측풍으로 강하게 불면 바람을 받는 표면적이 크다보니 항공기가 한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 기장은 전문용어로 크레빙(Crabing, 게걸음)이나 윙로우(Wing low, 한쪽날개경사) 등의 방법을 사용해 활주로 중앙에 정확한 착륙을 시도한다.

하지만 활주로가 얼어있는 경우나 호우같이 많은 비가 장시간 오는 경우에는 항공기가 미끄러질 위험성이 크다.

안전을 고려해 공항을 운영하는 공항당국에서 활주로의 미끄러운 강도를 점검해 기준치 이상이면 착륙을 못하도록 공항을 폐쇄함으로써 항공기 사고를 예방한다.

'

해리슨 포드도 머리를 다쳤듯이 착륙 시 항공기 사고로 손님 대부분은 머리 부분을 많이 다친다.

급작스러운 감속이나 라과디아 공항 착륙 사고와 마찬가지로 지상 장애물과 충돌하면 사람의 몸도 뉴턴의 '관성의 법칙'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기 때문이다.

이때 제일 많이 충격을 받는 부분이 머리와 목뼈 부분이다.

자동차가 급작스럽게 브레이크를 밟을 때와 유사한데 항공기 내에서는 '브레이스 포지션'(Brace Position)을 취해야 한다.

브레이스 포지션은 두 손을 깍지 낀 채 머리를 감싸고 팔을 앞좌석 등받이에 붙이는 자세다.

앞에 좌석이 없는 경우에는 허리를 숙이고 무릎을 감싼 뒤 머리를 무릎에 대야 한다.

이 자세는 항공기의 급감속이나 지상 장애물과 충돌 시 순간적인 급정지를 하더라도 머리와 목뼈 부분의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부상을 당하더라도 부상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항공기에 탑승하면 의자 전면 앞좌석에 있는 '비상시 승객절차'에 그림으로도 자세하게 설명돼 있다.

지상에서 이륙 전 승무원이 직접 시범을 보이는 △좌석벨트 착용 △구명동의 착용 △산소마스크 착용 등은 승객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내용이다.

가장 중요한 비상탈출 시 나가야 할 '비상구 위치'는 승무원이 직접 손으로 방향을 가리켜 알려주니, 자신의 목숨은 자신이 지킨다는 생각으로 주의 깊게 들어야 한다.

항공편 이용이 출퇴근처럼 일상화된 요즘, 탑승객 개개인이 승무원의 안전브리핑과 비상시 승객절차를 숙지할 때 보다 안전한 항공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