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의 공식 출시일인 지난 10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올레스퀘어를 찾은 고객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갤럭시S6·S6엣지, 미국선 공짜 국내선 제값
삼성전자가 최근 갤럭시S6와 S6엣지를 출시하면서 관련 기업들 주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출시 전 연간 판매 목표량으로 7000만대를 제시하면서 시장의 뜨거운 반응을 예상했으나 미국과 국내의 보조금 차이가 큰 사실이 알려지면서 고객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삼성전기는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장중 7만5100원까지 떨어졌다가 장 마감을 20여분 앞두고 0.52%(400원) 소폭 올라 7만6600원에 장을 마쳤다. 삼성전기는 갤럭시S6의 카메라 모듈, 와이파이 모듈, 무선충전 등 주요 부품을 생산하고 있어 갤럭시S6의 최대 수혜주로 꼽혀왔다. LIG투자증권은 삼성전기 목표주가를 기존 8만2000원에서 8만8000원까지 높인 바 있다.
배터리와 OLED를 생산하는 삼성SDI도 장중 13만3000원까지 하락했다가 13만4500원으로 보합 마감했다. 앞서 동부증권은 삼성SDI에 대해 갤럭시S6로 인해 2분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목표주가를 16만원에서 17만원으로 상향했지만 예상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그나마 마케팅을 담당하는 제일기획은 0.20%(50원) 오른 2만4700원으로 마감해 체면을 세웠다.
삼성 계열사뿐 아니라 코스닥 관련 부품 업체들도 약세를 보였다.
카메라 모듈 생산업체인 파트론과 해성옵틱스는 각각 전 거래일대비 3.11%(450원) 내린 1만4000원, 3.44%(230원) 내린 6450원에 마감했다.
터치스크린 제조업체인 에스맥은 전일보다 2.98%(200원) 내린 6520원에 거래를 마쳤고, 태양기전도 4850원으로 2.51%(125원) 떨어졌다.
이밖에 무선충전업체 켐트로닉스 1만1250원(-2.60%), 아모텍 1만9800원(-6.82%), 크로바하이텍 5710원(-1.38%) 등도 일제히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다만 아이마켓코리아는 전일대비 0.58%(150원) 오른 2만5850원에 거래되며 갤럭시S6 관련 업체 중 수혜주로 떠올랐다. 아이마켓코리아는 삼성그룹을 주력으로 하는 B2B 전자상거래 업체로, 소모성 자재부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등을 구매 대행하고 있다. 갤럭시S6 판매량이 증가할 것이란 기대가 지수 하락을 방어한 모양새다.
업계에 따르면 출시 3일이 지난 현재 해외에서의 갤럭시S6와 S6엣지에 대한 반응은 뜨거운 반면 국내 소비자들은 갤럭시S6 구입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과 국내의 갤럭시S6 구입 가격이 크게 차이 나는 사실에 소비자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6와 S6엣지 출고가는 각각 80만~90만원대와 90만~100만원대다.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은 갤럭시S5와 갤럭시S4를 반납하면 각각 200달러, 150달러를 보상해주는 보상판매를 진행 중이다. 2년 약정 시 갤럭시S6를 199.99달러에 판매해 공짜나 다름없다. 또 다른 통신사 스프린트는 2년 약정으로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면 한 달 요금 20달러를 포인트로 되돌려줘 사실상 공짜 구매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통신3사는 소비자가 최고 요금제를 선택할 시 갤럭시S6와 S6엣지에 대한 보조금을 최대 21만1000원까지로 책정했다. 고객이 6만원대 요금제를 선택하면 보조금은 10만원대 초반까지 뚝 떨어진다. 보조금을 최대한으로 받더라도 70만원 정도를 들여야 구입이 가능한 것이다.
윤혁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S6 관련주 주가는 출시 이전부터 높아진 기대감에 많이 상승한 상태여서 당분간 하락할 여지가 있다"며 "앞으로 목표 판매량 5000만대를 돌파할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이어 "보조금 차별 등의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국내 판매량은 10% 정도를 차지할 뿐이어서 삼성전자의 최대 시장인 북미에서의 성공여부가 관련주 향방을 가를 것"이라며 "한 달 가량은 관련주들도 S6의 판매량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