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이익↓·파생상품손실·세무조사 추징금 '폭탄'
단기 실적 개선 '암울'…2Q에도 낮은 이익 예상
대우조선해양의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이미 몇 주 전부터 대우조선해양의 적자가 거론돼온 탓에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은 편이다. 다만 내년 하반기에나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투자심리는 더욱 위축되고 있다.
1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우조선해양은 전날대비 3.93%(700원) 내린 1만7100원을 기록했다. 이달 들어 2거래일을 제외하고 0~1%대 하락을 거듭해온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5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4조4861억원, 영업손실 433억원, 당기순손실 1724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대우조선해양 개별기준으로는 매출액 4조423억원, 영업손실 804억원, 152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대우조선해양이 영업손실을 낸 것은 지난 2006년 이후 8년 6개월 만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해양플랜트 쇼크로 적자를 기록한 때에도 흑자를 내며 건재함을 과시한 바 있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1분기 실적에 대해서는 일회성 손실과 해양부문의 마진 악화로 어닝쇼크설이 팽배해있었다.
우선 장기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중 1173억원이 판관비용으로 지출됐다. 통상임금 관련 비용으로도 450억원이 빠져나갔다. 지난해 4분기에도 1030억원 규모의 매출채권 충당금이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2분기 연속 대규모 적립이 발생한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또 해양부문 매출총이익률(GPM)이 전분기 9.9%에서 올해 1분기 4.6%로 떨어졌다. 전분기 일회성 이익과 올해 1분기 일회성 손실을 뺀 정상GPM도 7.5%에서 5.6%로 하락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까지 해양 기자재 구매 등 재료비 원가비중이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GPM이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지난해 말 정기 세무조사에서 300억원의 추징금을 부과 받은 건도 대우조선해양의 실적 악화에 영향을 줬다.
대우조선해양의 1분기 어닝쇼크에도 시장은 크게 요동치지 않고 있다.
이재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의 실적실망감은 어느 정도 주가에 반영된 상황"이라며 "최근 한 달간 11% 하락 조정됐고, 올해 주가순자산비율(PBR) 역시 역대 최저인 0.68배까지 떨어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투자업계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단시간 내에 실적 개선을 이루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목표주가를 줄줄이 하향하고 있다.
이재원 연구원은 "올해 2분기에는 일회성 손실이 제거되면서 어느 정도 실적 정상화가 이뤄질 전망"이라면서도 "그러나 연간실적은 2016년 LNG선 매출비중 확대에 따른 이익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며 목표가를 기존 2만7000원에서 2만2000원으로 내려잡았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도 "현재 해양매출 감소대비 상선매출 증가 속도가 더뎌 매출액은 2016년까지 감소할 것"이라며 목표가를 기존 2만5000원에서 2만3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부터 정성립 신임 사장이 지휘한다. 경영진 교체에 앞서 전임자 시절의 실적부진 요인을 회계에 선반영하는 '빅배스'가 단행될 전망이어서 2분기 실적 개선은 요원한 상황이다.
전재천 대신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의 목표가를 기존 2만4000원에서 1만7800으로 내리고 "2Q에는 장기 외상매출채권 충당금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해양부문에서 낮은 수익성이 지속될 것"이라며 "CEO 교체로 적자 공사에 대한 공사손실충당금을 쌓을 경우, 다시 한 번 적자를 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