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김민준 기자] 최근 러시아에서 끝난 '2015 WTF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은 금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이 중 금메달 3개는 여자에서 나왔다. 역대 최악의 성적이다. 남자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3~4개를 노렸지만 고작 1개를 얻어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한 이란에 우승을 내줬다.
대한태권도협회 한 관계자는 "세대교체 과정이라 기대를 크게 하지 않았다. 16개의 금메달 중에 4개를 땄으면 잘한 것"이라고 총평했다. 태권도 종주국으로서 실망스러운 답변이다.
태권도 종사자들은 이번 결과가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고 말한다.
한국은 국기원, 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진흥재단, 대한태권도협회 등 4개의 태권도 단체가 있다. 한국 태권도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해야할 이들은 한국 태권도의 주체는 서로 자기들이라며 이권 다툼을 벌이기 일쑤다.
또 관행이라는 이유로 대표팀 감독을 비전문적인 시도 전무이사와 협회 임원이 나눠 맡는다.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체육 훈·포장을 받기 때문이다.
과거에 출전하면 종합우승하던 시절이야 태권도 발전에 기여하는 인사들에게 특별한 기회를 줄 수 있었다지만, 세계 각국의 전력이 어느 정도 평준화된 이 시점에서는 이런 비상식적인 무임승차는 끝나야 한다.
특히 상대 국가 선수들의 전력을 점검할 정보자료가 부족하다. 경쟁국 선수들의 정보 수집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다. 예산타령만 할 뿐이다.
하지만 한국과 경쟁하는 영국과 프랑스, 호주, 이란, 아제르바이잔, 대만, 일본, 중국 등은 정보분석팀에 꽤 많은 투자를 한다. 영국은 201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카메라 12대를 준비해 모든 경기를 촬영하고, 경기운영팀에 요청한 특정 선수의 주특기 발차기와 전수를 별도로 분석했다. 이번 대회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한 일본은 상대국 선수들을 분석해 그에 맞는 전략과 전술을 세워 대회에 출전했다.
주니어와 유소년 육성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것도 시급하다. 한국은 성인만 런던올림픽 이후 상비군 체재로 전환했다.
리우 올림픽이 이제 1년 여 앞으로 다가왔다. 2017년에는 전북 무주에서 세계태권도선수권이 열린다. 종주국으로서 더 이상 망신을 당하지 않으려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빨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