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 최대 '뇌관'인 가계부채가 위험수위에 육박했다. 올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 주요기관들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예사롭게 넘길 일이 아니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은 지난주 경기 오산 한신대학교에서 열린 특강에서 "가계부채는 한국경제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도 우리나라를 '세계 7대 가계부채 위험국'으로 지목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가계부채가 한국 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되기 전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영국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한국은 성장엔진이 작동을 멈추고 있는데 가계부채만 폭증하고 있으며, 그 부채 규모도 아시아 최대규모로 가계부채 위험이 가장 심각한 나라"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가계가 1년동안 벌어들인 소득에 비해 빚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지난해 164.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올들어서는 170%를 넘어섰다. 재정위기를 맞고 있는 그리스와 스페인보다 높은 수치다.
증가속도 또한 너무 가파르다. 실제로 정부의 부동산거래 활성화 대책에 편승해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 1분기에 9조7000억원이 늘었고, 4월 한 달에만 8조5000억원 급증했다. 월간 기준으로는 관련통계가 작성된 2008년 이후 최대 규모다. 가계부채는 올들어 늘어난 은행권의 가계대출 규모를 합하면 이미 1100조원을 돌파했다. 가히 천문학적인 규모다.
더욱 심각한 것은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급속히 빨라지면서 부실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뒤 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채 이자만 내는 가구가 190만에 달하고 이들 가구의 대출규모가 약 200조원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집값이 하락하고 금리가 인상되면 부실화 될 우려가 커지고 자칫 걷잡을 수 없는 형국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설상가상,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는 입장을 밝혀 후폭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이르면 오는 9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충격에 휩싸이기 전에 미리미리 거품을 제거해 대비하라는 옐런 의장의 경고를 간과해선 안된다.
경제전문가들은 정부가 단기적인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부동산 경기활성화에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고 국가 위기 관리 차원에서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억제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충고한다.
가계 역시 빚 부담을 줄이고 무리한 주식투자를 삼가하는 등 닥쳐올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인 가계부채 문제를 방치할 경우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경제는 타이밍이다. 더 늦기 전에 종합대책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