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한달째를 넘기면서 진정국면으로 접어드나 싶더니 다시 불안해 지는 양상이다.
환자가 처음 발생한 지 36일째인 24일을 기준으로 확진179명(사망 27명)에 격리자가 전날보다 298명 순증한 3103명으로 집계돼 6일만에 순증으로 돌아섰다.
방역당국의 통제망을 벗어난 환자가 강동성심병원등 대형 병원을 경유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 환자에 노출된 격리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허술한 방역망에 또 구멍이 뚫려 진정국면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특히 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이후 경제적 후유증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의료계는 물론 관광,유통, 건설, 제조업 등 산업전반에 걸쳐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환자가 줄면서 일부 병원에서는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고 제약사들도 월 2500억원대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나 의료계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여행·관광업계는 휴가철 성수기인 7, 8월에도 예약 취소사태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돼 초상집 분위기다.
민생 경제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전통시장과 음식점 등의 매출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져 영세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세월호보다 메르스 경제 파급효과가 훨씬 크다는 점에서 파장이 8월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제기되는 형국이다.
뿐만 아니다. 42년만에 찾아온 최악의 가뭄여파로 배추는 물론 양파, 마늘 등 채소 가격이 급등하면서 장바구니 물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금리 인상 여부와 중국경제의 성장세 둔화, 그리스 구제금융 등 대외환경도 녹록치 않다.
대내외 경제여건을 반영, 민간 경제연구소에 이어 국책 연구기관도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 대에 그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하반기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연간 2.9%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제시한 3.7%보다 0.8% 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한마디로 현 경제 상황은 위기상황이다.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위축된 경제심리를 회복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정부도 경제위축 상황이 심각함을 인식해 메르스 확산 방지, 가뭄 해소등 경제안정 대책으로 10조~15조원대의 추가경정예산(추경)편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25일 당정협의를 열어 추경편성 방향과 규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제전문가들은 "경기가 더 이상 추락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 자칫 머뭇거리다가는 감당할 수 없는 후유증을 겪게 될 수 있다"고 지적한 뒤 "당국의 적극적이고 선제 대응이 절실한 만큼 추경 편성 시기는 이르면 이를수록 좋다"고 충고했다.깊이 새겨 들어야 할것이다.
초기대응 실패로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주고 있는 만큼 뒷북대응으로 백약이 소용없는 우(愚)를 범해선 안된다. 메르스 사태가 다소 진정국면으로 접어들다 방역망이 뚫리면서 다시 불안해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완전히 종식될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고 방역관리체제를 보다 더 강화해야 한다.
국민들도 "이제는 막연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건전한 소비와 적절한 여가선용 등 일상으로 돌아가 주시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는 중소기업계의 대국민 호소에 호응을 해야 할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