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1년 미국 하와이 진주만 기습을 위해 출격을 준비 중인 제로센 전투기.
제로센·야마토 만든 미쓰비시, 장갑차로 '부활'
미해병대 차기 장갑차 납품 가능성…영·미 군수업체 협력 타진
아베의 무기수출 프로젝트의 핵심축…일본 전쟁능력 뒷받침
[메트로신문 송병형기자]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군수품 생산의 중심이었던 미쓰비시 중공업이 장갑차 개발로 군수산업 부활에 나섰다.
미쓰비시는 현재 미군 해병대의 장갑차를 대체할 수 있는 신형장갑차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추진 중인 무기수출 프로젝트에서 중심 역할이 기대된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쓰비시는 진주만기습 직후 악명을 떨쳤던 제로센 전투기와 일본 제국해군의 상징이었던 야마토 전함을 만든 전범기업이다. 미쓰비시의 부활은 일본 군수산업의 부활로 평가된다. 아베 총리가 추진 중인 '전쟁할 수 있는 국가'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24일 도쿄발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쓰비시는 상륙전에 쓰이는 신형 수륙양용 장갑차를 개발해 지난 1월 미군 해병대 최고지휘관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에서 시연회를 가졌다.
미쓰비시가 개발한 신형 장갑차는 미군 해병대가 사용 중인 AAV7 장갑차보다 세배 가량 속도가 빠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미군 해병대 측에서는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군 해병대의 호평을 받은 신형 장갑차는 아직 초기모델이다. 제품 생산에 들어가기까지는 아직 수년이 걸릴 전망이다. 이와 관련, 현재 AAV7 제조사인 영국의 BAE 시스템사는 미쓰비시 중공업에 신형 장갑차 차체 디자인에서 파트너십이 가능한지를 타진하고 있다. 미국의 제너럴 다이나믹사 역시 미쓰비시와의 파트너십을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일본 자위대 관계자에 따르면 미쓰비시는 애초 2012년 전후 최초로 창설된 상륙부대를 위해 신형 장갑차를 개발했다. 상륙부대에 배치될 예정이던 AAV7의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단점이 자위대에게 불만사항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지난해 4월 일본의 무기수출 제한 철폐는 미쓰비시가 신형 장갑차의 해외시장 수출을 노리는 계기가 됐다. 일본 방위산업 관계자들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전쟁을 할 수 있는 일본' 만들기의 일부분으로 무기수출 제한 철폐를 추진했다. 로이터통신은 아베 총리의 무기수출 프로젝트에서 머지않아 핵심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자위대는 이번 미쓰비시의 신형 장갑차 외에도 산호초 위를 달릴 수 있는 장갑차의 개발에도 관심이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과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두고 영토분쟁 중에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군수산업이 장갑차를 중심으로 빠르게 부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미쓰비시는 2차대전 당시 전투기, 군함, 전차 등 군수산업 전반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의 진주만 기습 이후 맹위를 떨쳤던 제로센(A6M zero) 전투기와 일본 제국해군 내 거함거포주의자들의 우상이자 제국해군의 상징이었던 야마토 전함도 미쓰비시의 제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