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상반기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난해 연간 상승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이달 전국 주택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6월 전국 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46% 상승했으며 상승폭도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서는 2.12% 상승한 수치로 지난해 연간 상승률(2.10%)을 넘어선데다 2011년 상반기 상승률(4.33%)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2.12% 상승하며 지난해의 연간 상승률(2.10%)을 넘어섰다.
아파트는 지난해 연간 상승률(2.43%)과 같은 2.43% 상승했고, 연립은 지난해 연간 상승률(0.90%)을 훌쩍 넘는 1.36% 올랐다. 단독주택은 1.52% 상승하며 상반기 주택매매 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수도권 모두 지난해 연간 상승률을 넘어섰다.
서울은 아파트(2.20%)> 연립(1.29%)> 단독(0.93%) 순으로, 수도권 또한 아파트(2.54%)> 연립(1.11%)> 단독(0.82%) 순으로 상승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수도권은 상반기에 저금리를 활용한 실수요와 전세가격 급등에 따른 매매전환 수요 증가가 매매가격 상승의 주요인"이라며 "지방광역시 중 개발 호재가 많은 대구(6.0%), 광주(3.86%), 울산(2.25%)의 상승세가 지방 지역의 상승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상반기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54% 상승하며 오름세를 지속했다. 올해 들어 2.80% 상승하며 지난해 상반기 상승률(2.11%)을 뛰어넘었으나 연간 상승률(3.83%)에는 미치지 못했다.
특히 물량부족 상태인 서울(4.10%), 수도권(3.62%) 주택의 전세가 상승률이 지방 5개 광역시(2.39%) 상승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아파트(4.85%)> 연립(3.56%)> 단독(2.14%) 순으로 올랐고, 수도권 또한 아파트(4.17%)> 연립(2.86%)> 단독(1.91%) 순으로 상승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의 전세가격은 임대인 대부분이 반전세 매물을 내놓으면서 계절적인 비수기임에도 매물 부족 현상이 계속됐다"며 "메르스(MERS) 영향으로 전세 시장이 다소 한산해졌지만 중소형 규모 선호로 여전히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최근 KB국민은행이 실시한 '주택구매 및 임대주택 거주 의향'을 묻는 대 고객(7676명)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89.1%(6841명)가 임대주택 거주 시 선호 형태로 '전세'를 선택했다"며 "보증부 월세나 순수 월세보다 월등히 선호도가 높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