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부진 속…편의점 매출, 전년比 33.5%↑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여파로 유통업계가 부진한 사이 편의점만은 2분기 실적 호조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에 BGF리테일, GS리테일 등 편의점주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신고가를 갱신하는 등 수혜주로 떠올랐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3일 BGF리테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06% 오른 18만5000원에 장을 마쳤다. 장중 한때는 18만650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이날 GS리테일은 전날 대비 2.88% 오른 5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5만4300원까지 올라 신고가를 경신했다.
대표적인 국내 편의점 업체인 BGF리테일과 GS리테일 주가는 올 들어 각각 141.83%, 108.57% 올랐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도 크게 늘었다. BGF리테일은 지난해 말 기준 1조8849억원에서 현재 4조5584억으로, GS리테일은 1조9750억원에서 4조1195억원으로 두 배 이상 불었다.
◆담뱃값 인상·대형마트 반사이익 '효과'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소매판매 및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매판매액은 총 31조514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판매액 가운데 편의점 소매판매액은 1조4600억원으로 전년 보다 무려 33.5% 증가했다.
백화점과 슈퍼마켓 판매액 증가율은 각각 2.7%와 0.8%로 소폭 상승했고, 대형마트 판매액(면세점 포함)은 8.7% 증가한 것과 비교해 두드러지는 성과다.
이에 따라 2분기 실적 전망도 밝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BGF리테일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18.3% 오른 1조55억원, 영업이익은 26.48% 상승한 488억으로 추정했다. GS리테일의 매출액은 1조4414억원으로 15.23%, 영업이익은 528억원으로 25.29% 늘어날 전망이다.
유주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편의점의 2분기 실적 성장은 담배가격 인상 효과, 즉석식품 및 음료 판매 호조에 기인한다"며 "담배판매 증가율은 1월(5.3%)→2월(7.7%)→3월(46.4%)→4월(53.5%)→5월(59.9%)로 확대되고 있고, 흡연율 회복 추세는 내년 2월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유 연구원은 그러면서 "정부에서 발표한 편의점 매출동향을 근거로 2분기 편의점 성장세를 종전 12%에서 28.9%로 수정한다"며 BGF리테일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19만8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김기영 SK증권 연구원은 "메르스로 대부분의 유통업태가 고전한 6월에도 편의점은 30%대의 고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판단한다"며 "메르스 여파에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대형매장을 회피하고 지역 소규모 매장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3분기는 이익률 높은 음료, 빙과매출이 집중하는 편의점의 최고 성수기"라며 "담뱃값 인상은 여전히 긍정적인 변수이고, 편의점 출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고무적"이라며 GS리테일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는 6만원으로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