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소형의 본초 테라피] 체질에 맞는 여름 보양식

김소형 본초 테라피



삼복은 여름 더위의 절정에 이르는 시기다. 그래서 이맘때는 항상 더위를 이겨내고 지친 몸을 회복시키기 위해 보양식을 먹었다. 체질을 고려해서 자신의 체질에 잘 맞는 음식을 먹는다면 체질의 약점을 보완하고 남은 여름철을 보다 건강하게 보낼 수 있다.

성격이 예민하며 스트레스에 취약한 소음인들은 몸도 차고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으며 소화기가 약해 여름철 배탈이나 설사에 시달리기 쉽다. 게다가 에어컨이 하루 종일 틀어져 있는 실내에 장시간 머물다 보면 호흡기 질환은 물론이고 복통, 두통이 생기기도 쉽고, 무기력해지고 면역력도 떨어지게 된다.

소음인은 차가워진 속을 따뜻하게 덥혀주는 것이 가장 좋은 건강법이다. 따라서 보양식 역시 따뜻한 성질의 삼계탕이나 추어탕이 좋다. 삼계탕은 닭, 황기, 마늘, 인삼 같은 재료들이 모두 더운 성질을 갖고 있어서 몸 속 냉기를 몰아내는 데 좋다. 또한 이들 음식들이 약해진 위장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기력 회복에도 도움이 됩니다. 추어탕도 마찬가지다.

덥다고 해서 차가운 탄산음료나 아이스 커피, 빙수 등을 자주 먹는 것은 소음인의 건강에는 해가 된다. 따라서 몸을 덥히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자양강장 효과가 있는 인삼차, 생강차 등을 마시는 것이 좋다.

태음인은 살이 찌기 쉬운 체질을 갖고 있다. 소화기가 튼튼해서 식욕이 좋고 소화흡수 능력이 뛰어나며 과식이나 폭식을 할 위험도 크다. 특히 비만이나 성인병 위험이 크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많은 육류는 삼가는 것이 좋다. 버섯이나 콩 등으로 단백질을 섭취해주는 것이 좋다.

태음인은 땀을 많이 흘리는 편이기 때문에 여름철 건강을 위해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다. 율무차는 공복감을 해소해주고 기력 회복에 도움이 되므로 태음인의 식탐을 줄이는 데 좋고, 도라지차는 폐가 약해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운 태음인의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된다.

소양인은 몸에 열이 많아 여름철 더위를 견디기 힘들어 한다. 몸에 열이 많아 여름철 입이 자주 마르고 갈증이 심하며 가슴이 답답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몸 속 열이 두통, 변비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열을 식혀주는 것이 여름철 건강 관리의 가장 좋은 방법이다.

육류 중에서는 찬 성질을 지닌 돼지고기나 오리고기를 먹는 것이 좋고, 메밀이나 오이 등 찬 성질의 재료를 사용한 음식을 먹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음료 역시 더위를 식혀주며 열로 인한 두통이나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리차나 결명자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태양인은 진취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다른 체질에 비해 건강한 편에 속하지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기운이 쉽게 위로 상승하며 잠을 잘 이루지 못해 건강을 해치기 쉽다. 그래서 화를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간 기능이 약한 편이라서 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몸에 열이 많은 편이며 간도 약하기 때문에 과음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약한 간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해산물이 태양인에게 가장 잘 맞는 보양식이다. 굴, 해삼, 전복 같은 해산물은 심장이나 간에 쌓이는 열을 내려주고 약한 간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데 좋다. 또한 피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주며, 태양인의 부족한 음기를 보충해주는 데 좋다. 한방차로는 제2의 인삼이라고 불리는 오가피가 좋다. 기력 회복을 돕는 것은 물론이고 태양인의 약한 간 기능을 북돋우는 데도 좋다.

김소형 한의사(bonchotherapy.com)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