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 LG생명과학, 제일약품 등 의약업 전 종목 상승
최근 두 달, 제약 업종 조정…1만→6000포인트 대 급락
금투업계 "연구개발(R&D) 성과 나타날 종목 가려내야"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국내 주식 시장에서 제약·바이오 업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제약·바이오주는 앞서 높은 평가가치(밸류에이션)로 '버블 논란'이 일며 조정 상태에 들어갔었다. 거품을 걷어낸 제약·바이오 업종이 다시 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의약품 업종은 전 거래일 대비 39.67포인트(5.33%) 오른 6707.84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의약품 전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한독이 14.09%로 가장 많이 올랐고 일동제약(11.34%)과 제일약품(11.14%)도 급등했다. 국제약품과 JW중외제약은 5%대 상승했고 동화약품(4.56%), 동성제약(4.43%), 유유제약(4.40%) 등도 크게 올랐다.
코스피200에 포함된 이연제약(13%), 경보제약(9.95%), 동아에스티(8.53%), 종근당(8.19%), 대웅제약(6.15%), 녹십자(6.11%), LG생활건강(5.59%), 국제약품(5.35%), 한미약품(4.88%) 등도 일제히 상승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제약 업종은 전일 대비 45.44포인트(6.44%) 오른 5708.36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종목 중에선 서울제약(-1.54%)과 우진비앤지(-0.30%) 등 두 개 업체만 제외한 모든 종목이 상승했다. 이-글 벳이 23.11%로 급등했고 에스탁파마(13.62%)도 크게 올랐다. 이밖에 안국약품(8.05%), 코미팜(6.89%), CMG제약(6.47%), 셀트리온(6.40%), 진양제약(5.02%) 등의 상승폭이 컸고 인트론바이오, 오스코텍, 조아제약 등도 4%대 상승했다.
이들 제약·바이오주는 올해 들어 급등하면서 상반기 주식 시장을 주도해왔다. 코스피 시장에서 의약품 업종은 연초 4464.08포인트에서 6월 말 9070.86포인트까지 오르며 6개월 만에 103.2%나 뛰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한미약품이 다국적 제약사인 릴리에 7000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을 하기로 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 상승폭이 확대됐다. 또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장기화되며 유통·여행주에서 발을 뺀 투자자가 제약·바이오주로 몰리며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상황은 지난 7월 초 고점을 찍은 이후 반전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7월6일 장중 한때 10281.73포인트를 기록하며 최고점을 찍은 의약품 업종은 다음 날인 7일 하루 만에 13.16% 폭락하며 최근까지 기나긴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 7월 고점 이후 지난 8일 6368.73포인트까지 두 달여 만에 무려 38.05% 역주행했다.
제약·바이오주가 일제히 반등했지만 전문가들은 종목별 투자를 조언하고 있다.
김승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국내 제약 업종의 밸류에이션은 이미 과거 10년 역사적 고점보다 높거나 고점과 가까운 상황"이라며 "연구개발(R&D) 성과가 나타날 수 있는 업체들로 포트폴리오를 압축하라"고 조언했다.
하태기 SK증권 연구원도 "제약·바이오 업종에 대해 제약주 밸류에이션 부담이 완화됐으나 기간 조정은 아직 남아있다"며 분할 매수 의견을 내놨다.
하 연구원은 "2000년 이후 제약주의 큰 상승국면은 3번 있었는데 상승 이후 조정국면이 각각 4년, 1년, 1년6개월 정도 지속됐다"며 "8일 현재 주가수익비율(PER)이 20.3 배로 감내할 수 있는 범위가 됐지만 조정기간 측면에서는 아직도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달 17일자 보고서에서 제약주의 본격 회복시점을 연말이나 내년 1분기로 전망한 바 있다"며 "향후 제약주는 과매도구간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분할 매수하는 전략도 유효하지만 본격적인 회복시점은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