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주간증시전망] 美금리 불확실성 여전…G2 경제지표 주요 변수

>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글로벌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오는 12월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옐런 의장이 10월 금리인상 가능성도 내비친 상황이어서 국내 증시 또한 1900선 안팎에서 박스권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9월 코스피지수는 FOMC를 앞두고 불확실성 제거 기대와 미국 경기 정상화에 대한 확신,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등의 효과로 상승 기조를 보이다 FOMC 이후 반등요인을 잃으며 하락 전환하는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지난 1일 1934.44에 출발한 코스피지수는 25일 1942.85에 마감했다. 종가기준 8일 1878.68까지 떨어진 지수는 18일 1995.95포인트를 기록하면서 120포인트 가까이 변동폭을 넓혔다.

10월 국내 증시는 뚜렷한 주도업종 없이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증시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동결 이후 금리인상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져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기 지표를 증시의 주요 변수로 점치고 있다.

이번 주에는 ▲중국 8월 경기선행지수(28∼30일) ▲미국 9월 ISM 제조업 지수(1일) ▲중국 9월 PMI 제조업 지수(1일) ▲미국 9월 실업률(2일) ▲중추절·국경절로 중국 증시 휴장(28일, 1~7일) 등 이슈가 마련돼 있다.

고승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9월 ISM 제조업 지수의 시장 컨센서스는 50.6p로 전월(51.1p) 대비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 제조업 지표는 전반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고 연구원은 이어 "중국의 9월 PMI 제조업 지수의 시장 컨센서스는 49.6p로 전월(49.7p) 대비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며 "앞서 9월 차이신 제조업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47.0p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국가통계국 PMI 제조업지수 역시 개선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G2의 경제 지표가 부진할 것이란 전망 속에서 중국 증시 휴장은 지수 낙폭을 줄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유겸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8월 중순 이후 중국 증시 관련 불확실성이 국내 증시에 중요한 리스크 요인이 된 만큼 중국 증시가 중추절 및 국경절에 휴장에 들어가면 잠재적인 부담거리가 줄어들 것"이라며 "10월 FOMC(27~28일) 이전까지는 미국 금리결정 관련 이슈가 국내외 금융시장을 지배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연구원은 그러면서 "미국 주요 경제지표 결과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중국 연휴 및 국내 소비진작 정책과 관련된 유통과 운송 업종 등을 중심으로 보수적인 시장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또 3분기 어닝시즌을 앞두고 실적에 따른 업종별 차별화 장세가 펼쳐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진혁 SK증권 연구원은 "통신서비스, 자동차는 시장대비 변동성이 낮으면서 펜더멘탈 매력과 모멘텀(배당, 신차출시, 원화약세)을 보유한 능동적 방어주로 구분된다"며 "또 통상 은행, 증권은 금리 방향에 따라 상이한 흐름을 보이지만 두 업종 모두 연간 및 분기 추정치가 지속적인 상승 추세라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고 추천했다.

고승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10월 중국의 국경절, 미국의 연말 소비 시즌 등이 예정돼 있기 때문에 화장품, 면세점 등 중국 관련 소비주와 유통, 자동차 등 소비재 업종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며 "더불어 연말 배당 시즌을 앞두고 배당주도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