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힐러리 클린턴, 약가 규제 공약 발표…나스닥 바이오주↓
경보제약·한미약품·유한양행·셀트리온·메디톡스 일제히 하락
증권가, "당분간 조정 불가피" vs "국내 제약주에 긍정적"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미국 내 약값 논쟁이 거세지면서 국내 증시의 제약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증권가에선 이미 버블논란에 휩싸인 제약주에 미국 발(發) 논쟁이 더해져 당분간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부정적 전망과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긍정적 전망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3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경보제약은 전 거래일 대비 18.50%(3200원) 급락한 1만41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의약품 대장주인 한미약품도 전일보다 3.26%(1만2500원) 하락해 37만1500원을 기록했다. 이밖에 유유제약(-11.55%), 대원제약(-8.03%), 슈넬생명과학(-7.47%), JW중외제약(-4.27%), 명문제약(-4.07%), 보령제약(-3.37%), 유한양행(-2.01%) 등 제약·바이오주가 일제히 내렸다.
코스닥에서 시가총액 1위에 올라 있는 셀트리온도 전일 대비 2.86%(2000원) 내린 6만79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코아스템이 8.86% 급락했고 인트론바이오(-6.84%), 펩트론(-6.53%), 메디포스트(-5.58%), 코오롱생명과학(-4.71%), 경남제약(-4.37%), 메디톡스(-4.20%) 등도 큰 폭 하락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 의약품 업종은 2.74%, 코스닥시장 제약 업종은 2.93% 떨어졌다.
앞서 미국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약가 인하 정책을 공언하면서 나스닥지수의 바이오주가 5% 급락, 이 여파가 국내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 21일(현지시간) 트위터에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약값이 폭리를 취하는 것은 참을 수 없다"며 고가약 논쟁에 불을 붙였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1953년 개발된 말라리아 치료제 '다라프림' 가격은 지난 8월 소유권이 새 주인에게 넘어간지 하루 만에 13.50달러(한화 약 1만6000원)에서 750달러(한화 약 88만4000원)으로 50배 이상 뛰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지난해 희귀질환 치료제 등 고가의 바이오 약품 등의 처방액이 30.9% 급증하면서 같은 기간 약 처방 지출액도 전년 대비 13.1% 급증했다. 이같은 증가율은 10년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에 따라 만성질환자와 중증질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월 250달러로 제한하고 소비자에 대한 약광고비의 세금감면 제도를 철폐하는 등의 약가 규제 공약을 내놨다.
이후 21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지수와 S&P500지수의 생명공학주와 의약·바이오주가 급락했다.
미국 내 약값 논쟁이 국내 제약·바이오주에 악재일지 호재일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정보라 동부증권 연구원은 "미국에서 약가 규제가 시행된다면 제약시장은 위축되고 신약 개발회사들의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며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기초여건에는 변화가 없지만 거품 논란에서 벗어날 수 없는 만큼 당분간 주가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이은택 SK증권 연구원은 "이번 클린턴 후보의 약가 규제 이슈는 지난 2013년 소발디(간염치료제) 약가 조사와 비슷하다"며 "규제 가능성이 커지면서 최근 분위기는 2013년보다 더 강하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하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공화당 반대로 약가 인하 정책이 시행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공적의료보험인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처방에 대한 인센티브와 정부지원 확대 정책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돼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에는 긍정적"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