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산업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영상산업이 디지털화 되면서 극장에서만 볼 수 있었던 영상콘텐츠 상품은 스마트기기로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게 되었다. 누구든지 자신의 방송국을 만들어 방송할 수 있도록 1인 제작시스템도 구축되었다. 심지어 영상산업 뿐만 아니라 모든 상품의 유통 역시 온라인화 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영상산업 지원은 여기에 발맞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의 영상산업정책은 문화부와 미래부로 분산되어 있다. 문화부에서는 아날로그 영상산업의 제작과 유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래부는 디지털 영상산업을 담당한다. 급변하는 영상산업 환경과는 거리가 멀다. 실제 현장에서 문화부와 미래부의 업무영역 구분은 갈수록 불확실해지고 있다. 정책을 담당할 컨트롤 타워가 불확실해지니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질리 만무하다.
영화산업 하나만을 보더라도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이 왜 중요한지 분명해진다. 얼핏 보면 한국영화는 위기가 없어 보인다. 1000만관객 영화가 해마다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한국영화 총매출액도 2조원을 돌파했다. 그리고 국민1인당 영화관람 편수는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한다. 영화의 불모지와 같았던 부산에서 국제영화제를 개최하며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성장시켰다. 그러나 우리 영화는 지나치게 극장매출에만 의존한다. 세계시장이 극장매출과 디지털온라인매출에 4:6의 비율을 보이는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8:2로 극장매출의 의존도가 높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기존에는 극장에서만 볼 수 있었던 영화는 이제는 집안에서, 스마트기기로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극장위주의 유통구조를 성장세를 타고 있는 IPTV/VOD와 같은 디지털 온라인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정책이 변화되어야 한다. 부산국제영화제와 같은 국제영화제를 통해 작품성이 뛰어난 영상상품이 흥행에 성공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은 물론 제작 및 유통지원을 해야 한다. 영화산업이 디지털 온라인 유통구조로 변화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를 위협하는 중국은 어떤가. 중국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급격한 팽창은 우리에게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비록 지금 우리 영상산업이 한류의 유행에 따라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지만 중국 영상산업 또한 급속히 디지털화 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영상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지원부서의 역할분담 및 지원체제가 재정비돼야 한다.
영상산업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변화되고 있다. 영상문화와 정보통신기술 그리고 경제 분야인 영상산업이 융합된 산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현 정부가 내세우는 창조경제의 핵심산업이다. 창조경제를 활성화시켜 한국영상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영상산업은 제작 및 유통구조를 디지털 시대에 맞게 개편해야 한다. 그리고 영화진흥위원회를 비롯한 정부의 지원정책 역시 기존의 아날로그 위주에서 디지털 위주로 전환해서 한국영상산업을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양 경 미 (한국영상콘텐츠산업연구소장)